*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2. <청산별곡(靑山別曲)>
3. 청산별곡 패러디 작품
1) 김석규 <청산별곡>
2) 박남철 <자본에 살어리랏다>
3) SNL코리아 (시즌5 고교전쟁 과학고vs외고)
4.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청산별곡(靑山別曲)>은 고려시대 국어시가의 백미(白眉)로 손꼽힌다. 그런데 <청산별곡(靑山別曲)>은 생성(生成)에 관한 정보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청산별곡(靑山別曲)>의 이러한 점으로 인해 원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청산별곡>을 패러디 할 때, 이 노래를 ‘청산’과 ‘자연’의 해석과 관련하여 어떤 성격의 노래로 파악하여 취하는지에 따라 패러디의 성격도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속가 <청산별곡(靑山別曲)>의 원문을 파악해 보고, 이를 패러디한 작품을 살펴보며, 패러디 작품이 원전(原典)의 어떠한 점을 계승하였고, 변용된 부분은 어떤 부분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2. <청산별곡(靑山別曲)>
<청산별곡(靑山別曲)>은 “악장가사”에 전문, “시용향학보”에 1장 부분이 실려 전하는 작자 미상의 작품이다. 전체 8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매연(每聯)은 4구씩이다. 후렴구가 붙으며, 매구(每句)는 3’3’3(2)조(調)의 정형으로 되었다. 각 장마다 사이에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얄라”의 후렴구가 들어있는데, 사설과 후렴구가 교체, 반복되는 이런 형태적 구성은 선후창으로 부르는 민요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노래의 민요적 성격을 추정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박경수, 「현대시의 고전시가 패러디 양상과 담론 -<제망매가>와 <청산별곡>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2006
임주탁, 「<청산별곡>의 독법과 해석」, 한국시가학회, 2003
정재호, 「<靑山別曲>론 서설」,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7
정재호, 「<청산별곡>의 새로운 이해 모색」, 국어국문학회, 2005
김명준,『고려속요집성』, 다운샘, 2002.
정병욱,『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0
조동일,『한국문화통사 2』, 지식산업사, 2005
김학성,『한국고전시가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