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혁명시대의인문학 ) 다음 두 권을 읽고 , 각각의 저자가 저술 당시에 이와 같은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하면서 , 서평을 작성하세요. 올더스 헉슬리 , [멋진 신세계 ], 1932. 조지 오웰 , [1984], 1948.
- 최초 등록일
- 2021.03.05
- 최종 저작일
- 2021.03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4,500원 
목차
1. 개요
2. 서론
3. 본론
4. 결론
본문내용
소설 1984를 쓴 조지 오웰(George Owell)과 멋진 신세계를 쓴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 간에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그들이 살던 20세기에서의 관점으로 미래를 유토피아로 바라보기 보다는, 미래는 절망과 인류가 타락하는 디스토피아로 바라봤다는 점이다. 조지 오웰과 올더스 헉슬리는 분명 디스토피아에 있어서도 다른 관점을 보이고 있다. 조지 오웰이 전체주의와 억압된 개인이라는 정치사회적 측면에서 접근했다면 헉슬리는 계층이라는 경제적 분리와 성과 마약에 대한 넘쳐나는 향락과 그리고 절제가 없는 쾌락과 세속주의 문화적 사회에서 접근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조지 오웰과 올더스 헉슬리 이 두 사람 모두가 영국 사람이라는 점도 매우 흥미롭다. 이들이 태어난 20세기 초중반까지 영국은 대영제국이라는 현재진행형적인 세계의 유일한 패권 국가였고, 영국의 식민지는 세계의 절반을 차지하고, 경제와 산업의 중심은 영국을 통해서 돌아갔다. 그러다가 세계 1차 및 2차 대전이 발발하게 되면서 영국은 미국이라는 후발주자에게 그러한 패권 국가 지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이렇게 격동하는 영국에서 태어난 두 소설가는 기술의 발전과 문명의 고도화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미래와 사회 그리고 세대를 예측하고 소설을 작성하였다. 소설 ‘1984’와 ‘멋진 신세계’는 오늘날까지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받는 소설들 중 하나이고, 미래에 대한 소설에 있어서 디스토피아적 관점에서 매우 잘 알려져 있는 책들이다. 물론 이들의 소설적 상상과는 다르게 현재 세계의 대부분 국가들은 1984의 유라시아의 국가형태도 아니고, 멋진 신세계에서의 사회계급과 정치체제를 가지고 있지도 않다. 그러나 이러한 섬뜩하고 있을법한 미래의 모습을 묘사하는 이 두 소설가는 과연 무슨 생각으로 이러한 소설을 작성하였는지 본인은 매우 궁금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