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산업과 유튜브
- 최초 등록일
- 2021.02.18
- 최종 저작일
- 2020.1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유튜브와 영화 시장
2. 유튜브
3. 영화
4. 영화와 유튜브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유튜브와 영화 시장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는 콘텐츠가 폭발하는 시대이다. 200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가 콘텐츠로서 접할 수 있는 것은 음악, 텔레비전, 영화 정도 존재했다. 하지만, 약 20년 간 정보‧통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사람들이 손에 스마트 폰을 쥐고 살아간다. 스마트 폰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즐기며, 영화를 본다. 또한, 1인 플랫폼을 이용해 많은 사람들이 개인 방송을 함으로써 각각의 사람들은 자기 취향에 맞는 방송을 선택해서 시청하는 시대에 이르렀다. 특히, 유튜브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늘어가고 있다. 모바일 앱 분석기관인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유튜브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3294만 명으로, 우리나라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2,991만 명)를 훨씬 앞선다. 우리나라에서 유튜브 이용자 수가 인구의 60%를 넘어가는 현재,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9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5.7%로 3위를 차지할 만큼 점차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유튜브 이용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요즘처럼 다양한 매체와 다양한 콘텐츠가 넘쳐나는 환경 속에서, 유튜브가 독보적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지, 유튜브의 성공 요인에 대해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한편, 기성의 영상 매체인 영화 시장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영화협회(MPAA)의 2018년 세계 영화 시장 보고서를 기준으로 보면 전 세계 영화 시장의 총 규모는 411억 달러이다. 이 중 가장 거대한 시장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북미(미국, 캐나다) 영화 시장은 119억 달러로 총 29%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중국 시장이 90억 달러로 22%의 점유율로 2위, 일본, 영국, 한국 순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참고 자료
이수진, [상반기 영화산업] 코로나로 극장가 직격탄...2005년 이후 최저, https://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95128,
장동환, 나우앤서베이 설문 “유튜브, 대한민국 저녁 접수하다… 지상파·케이블·넷플릭스 등 다 합쳐도 못 따라가”,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896925, (2020.12.14.)
김근정, 중국 칭다오 대형 멀티플렉스 곧 등장...아시아 최대, https://www.ajunews.com/view/20141007173333143, (2020.12.14.)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년 미디어이슈 8호 - 유튜브 동영상 이용과 허위정보 노출 경험- 설문공개 자료, https://www.kpf.or.kr/front/board/boardContentsView.do?board_id=292&contents_id=000344023C8FC498643638F6BC06A5DF,
Pamela McClintock, 2020 Box Office: Domestic Revenue Falls to 40-Year Low,
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2020-box-office-domestic-revenue-falls-to-40-year-plus-low,(202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