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문헌고찰, 병태생리, 합병증, 간호, 간호진단명
- 최초 등록일
- 2021.02.07
- 최종 저작일
- 2019.04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위암 문헌고찰, 병태생리, 합병증, 간호, 간호진단명 등 "에 대한 내용입니다.
총 14장으로 구성되어 있어 위암에 대한 자세하고 전반적인 문헌고찰을 하는데 도움되실겁니다.
목차
1. 위암의 현황
2. 위암의 정의
3. 위암의 원인
4. 병태생리
5. 위암 증상
6. 위암의 진단 방법
7. 위암의 치료 방법
8. 위암환자 간호
본문내용
위암의 현황
2018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위암은 2016년 우리나라 전체 암 발생의 13.3%로 1위를 차지하였다.
남녀 성비는 2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20,509건으로 남성 암 중 1위를 차지했고, 여자는 9,995건으로 여성의 암 중 4위였다. 남녀를 합쳐서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27.9%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5.4%, 50대가 22.9%의 순이었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18년 12월 발표 자료)
위암의 정의
위암은 정상이던 위점막 세포가 발암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암 유발 유전자가 활성화되거나 암 억제 유전자가 불활성화하면서 암세포로 변하는 것이다. 위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위선암으로 위점막의 선세포(샘세포)에서 발생하며,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나뉜다. 조기 위암이란 암이 점막층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위암을 뜻하며, 진행성 위암은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및 그 이상의 단계로 진행한 위암을 뜻한다.
위암에는 위선암 외에도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림프종, 위의 신경 및 근육 조직에서 발생하는 간질성 종양, 육종(肉腫, 비상피성 조직에서 유래하는 악성 종양), 그리고 호르몬을 분비하는 신경내분비암 등이 모두 포함된다.
위암의 원인
위암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먼저 환경 요인으로는 식이요인(짠 음식, 탄 음식, 훈제), 흡연, 전리방사선 등이 있고, 개체 요인으로는 특정 유전적 소인(예 가족성선종용종증)이 있다. 그리고 위암의 전구병변으로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Helicobacter pylori) 감염, 만성 위축성 위염, 장피화생, 과거 위 수술 등이 있다. 가족 중 위암 환자가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암의 빈도가 높다.
참고 자료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도서출판 정담)
https://www.cancer.go.kr 국가암정보센터
성인간호학1 (2017, 수문사) : 위장계 건강문제와 간호
대한종양간호학회,『종양치료와 간호』,포널스출판사(2012)
김복자,『암환자 간호증상관리』,현문사(2000)
소향숙,『암환자간호』,포널스출판사(2015)
현진해 외 1명, [조기 위암 치료 : 레이저를 이용한 내시경점막하박리술], 대한내과학회(1998)
심포지움, [위암의 진단 및 내시경적 치료 저자], 대한내과학회(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