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자원의 이해(본인이 조사한 자연 환경 탐방 프로그램)
- 최초 등록일
- 2021.02.04
- 최종 저작일
- 2020.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본인이 조사한 자연/환경 탐방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시설
1) 국립수목원
2) 관악산 체험의 숲길
2. 조사 일자, 장소, 조사 소요시간
1) 국립수목원: 온라인 접속
2) 관악산 체험의 숲길: 온라인 접속
3. 프로그램 내용
1) 국립수목원(현장에서 배우는 식물분류 교실 프로그램)
2) 관악산 체험의 숲길(관악산 치유의 숲길 프로그램)
4. 프로그램의 좋았던 부분과 부족한 부분 및 개선이 필요한 부분과 개선 아이디어
1) 국립수목원(현장에서 배우는 식물분류 교실 프로그램)
2) 관악산 체험의 숲길(관악산 치유의 숲길 프로그램)
5. 두 개 프로그램 비교 및 개인 소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립수목원의 “현장에서 배우는 식물분류 교실 프로그램”은 전시원 내 식재된 식물의 특징에 따라 그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실내 이론 수업뿐만 아니라 실습이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으로서, 일반인들이 식물자원의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과 사전에 예약을 통해 20명이라는 제한된 인원만 참여할 수 있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관악산 치유의 숲길 프로그램”은 숲의 가치에 관한 관심 증대 및 수평 탐방문화 증가라는 이용 패러다임 변화 등을 수용하여, 여가활동을 통해 건강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주 등산로를 따라 해설전문가와 함께 걸으면서 설명을 듣고, 자연, 문화, 역사 등을 접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으로, 탐방로가 생태관찰이나 교육적인 목적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관악산의 험준한 지형조건 등으로 고령자나 장애인 등 보행 약자의 이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는 점이 본 프로그램의 단점으로 제기된다.
참고 자료
장예나(2018). 도시 산림공원의 체험형 자연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경택(2018). 숲 읽어주는 남자. 황소걸음.
산림청 국립수목원, 2020년 4월 12일(http://www.kna.go.kr)
관악구청, 관광 정보, 2020년 4월 15일(http://www.gwanak.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