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현황 분석(교육과정, 직업교육, 국제교육협력)
*유*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 교육 현황에 대하여 분석한 글입니다.한국 문화적 특성에 기반하여 교육 정책 및 현황 등 다양한 각도로 분석이 이루어졌습니다.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각종 자료 및 내용을 정리하여 활용하였습니다.
목차
I. 한국 국가 개요II. 대한민국 교육 현황 및 통계 (교육과정 및 학사일정)
III. 교육정책 (k-12기본교육, 특수교육, 직업교육, 최신 교육정책, 교육관련 협력기관)
VI. 교육정책 실시체계 (교육부, 교육청 체계 및 역할)
V. 교원 역량강화 (진학방법, 교수학습적 내용)
VI. 국제교육협력 (교육협력 및 협력 기관)
본문내용
I. 한국 국가 개요1. 인구
2020년 추계 대한민국의 전체 인구는 약 5,178만 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구수로는 세계 28위이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 동향>
(출처: http://kosis.kr/index/index.do)
대한민국의 연령별 인구: 2020년 기준으로 청소년층(0-14세) 630명, 청년층(15-64세) 3,736만명, 노년층(65세이상) 813만명이다. 청소년층은 수가 감소하고 있으면 노년층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의 인구 밀도는 일정 지역 내의 인구를 해당 지역의 면적으로 나눈 수치로서 지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의 과밀한 정도를 나타내는 인구 밀도는 509.2명/km²이 대한민국 평균이다. 다만, 지역별로 격차가 큰 편이다. 특히, 수도권과 각종 광역시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으며, 시도 중에는 인구 밀도가 낮으며, 그중에서 강원이 가장 낮다.
<중 략>
III. 교육정책
1. K-12 기본교육
대한민국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9년을 의무교육으로 규정되어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중에서 공립학교의 경우에는 무상 교육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입학 연령은 만 7세이다. 특히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교육 기관의 교육의 형평성과 체계성을 위하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정해져 있다.
1-1. 교육과정의 성격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다.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학교와 교육청, 지역사회,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이다.
⦁학교 교육 체제를 교육과정 중심으로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학교 교육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참고 자료
http://jeonglimes.djsch.kr/main.dohttp://gjms.djsch.kr/
http://gjhs.djsch.kr/
http://www.snue.ac.kr/index.do
https://sabum.kongju.ac.kr/
https://map.kakao.com/
http://kosis.kr/index/index.do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44835&cid=47334&categoryId=47334
https://post.naver.com/my.nhn?memberNo=5246326
https://www.fnnews.com/news/*************23628
https://www.weather.go.kr/w/index.do
https://kess.kedi.re.kr
https://if-blog.tistory.com/
https://www.moe.go.kr/main.do?s=moe
http://www.djsbe.go.kr/
http://www.dje.go.kr/intro_corona.html
https://www.moe.go.kr/
http://www.alcob.org/kor/index.do
https://www.unesco.or.kr/
https://www.keris.or.kr/main/main.do
https://www.krivet.re.kr/
https://meister.hrdkorea.or.kr/sub/7/1/1/*************0913100_view.do
https://www.ebs.co.kr/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