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공교육의 활성화 및 학교교육의 발전방안
- 최초 등록일
- 2021.02.03
- 최종 저작일
- 2021.0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 교육사회학
주제: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교육의 활성화 및 학교교육의 발전방안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4차 산업혁명의 개념 및 특징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환경
3.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교육 활성화 및 학교 교육의 발전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y Forum), 일명 다보스 포럼의 창립자이자 회장인 클라우스 슈밥이 2016년 발표한 미래전망보고서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은 전 세계적인 파장을 일으키며 많은 국가의 미래지침서 노릇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해 보지 못한 또 다른 혁명적인 변화로서 제4차 산업혁명은 단순히 자연과학과 기술 분야의 미래 혁신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도덕, 환경 등과 같은 거의 모든 인간 삶의 영역을 관통하는 영향력을 행사한다.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미래학적 담론은 ‘알파고’라는 인공지능의 위력을 경험하게 된 뒤 더욱 현실적이고 뚜렷한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산업계 종사자들은 물론이고, 대선주자를 비롯한 정치가들까지도 공약으로 내세우는 것 중의 하나가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이라는 점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할 때 빠질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필요성이다.
참고 자료
안종배(2017),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디어와 교육』 7(1), 한국교육방송공사.
이주호(2017),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 정책시리즈』, 한반도선진화재단.
조난심(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 39, 교육비평.
조상식(2016),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미디어와 교육』 6(2), 한국교육방송공사.
클라우스 슈밥(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