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간호진단, 간호과정 3개
- 최초 등록일
- 2021.01.29
- 최종 저작일
- 2016.08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1.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 원인
3) 임상증상과 합병증
4) 진단
5) 치료
2. 사례연구
1) 간호정보조사지
2)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당뇨병은 가장 흔한 내분비계 질환이다. 당뇨병은 식습관과 생활 및 행동양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서구화에 따른 환경변화 등으로 전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1970년에 1% 미만으로 추정되던 환자의 수가 2010년 만 30세 이상 성인의 경우 10.1%로 증가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특히 70대 이후에는 4명중 1명이 당뇨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은 급성대사장애와 눈, 신장, 심장, 신경, 혈관 등을 침범하는 만성합병증을 초래한다. 따라서 일생동안 행동과 생활습관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당뇨의 합병증은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건강문제이다.
이번 성인간호학 실습을 통해 다양한 전공책, 협회의 자료, 인터넷 검색을 통해 당뇨에 관한 간호학적 지식을 열심히 공부하고자 한다. 또한 당뇨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와 합병증 간호를 중점으로 간호과정을 공부해볼 것이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의 작용이 원활하지 않거나 분비부족으로 인하여 혈당이 증가하는 대사성 질환이다. 당뇨병은 일생동안 행동과 생활습관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고혈압, 고지혈증, 실명, 말기신장질환, 발이나 다리의 절단 등 당뇨병의 합병증은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건강문제이다.
2) 병태 생리와 원인
인슐린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되어 저장된 전인슐린이 간에서 인슐린으로 활성화된다. 인슐린은 표적세포의 수용체에 부착되어 세포막을 통해 포도당을 세포내로 운반한다. 혈당조절기전은 식사 후 포도당 농도가 증가하면 인슐린이 분비되어 간에서 글리코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지방세포와 근육세포로 포도당을 운반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는 정상으로 회복된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라 불리며 대부분의 환자는 인슐린 저항성을 보이며 상대적 인슐린 결핍이 나타난다.
참고 자료
고자경, 성인간호학, 퍼시빅, 2017,
윤은자, 성인간호학, 수문사, 2019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2015)
김경수, 당뇨병과 요로감염,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7
쉽게내리는 간호진단, 김정애, 박영선, 2015, 수문사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송경애 외 8인, 2017, 수문사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A+/ 이보다 자세할 순 없다] DM (diabetes mellitus) case study, 당.. 38페이지
- A+, 과정 4개, 당뇨 케이스, 당뇨병 케이스, 당뇨병, 당뇨병 CASE, 당뇨병 간호진단, 당뇨.. 49페이지
- 당뇨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24페이지
- 당뇨병 A+ 케이스 자료입니다. (NANDA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2개) 30페이지
- 성인 당뇨병 케이스, 간호과정 및 간호진단 , 간호목표 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