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cture 골절 문헌고찰
- 최초 등록일
- 2021.01.28
- 최종 저작일
- 2019.03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Fracture 골절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병인과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골절 대상자 치료
6) 골절 대상자 간호
7) 골절의 합병증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근골격계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완전하고 복잡한 신체운동은 물론 내부 장기를 보호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며, 신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근골격계의 문제로 인한 장애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러한 근골격계 중 뼈가 부러진 상태를 골절(fracture)이라고 한다. 골절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신체 기능의 손상이나 기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신체를 움직이지 못해 장기적 부동으로 이어져 욕창 등 여러가지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골절환자의 건강 문제를 신속히 파악하여 합병증과 기형을 예방하는 것이 간호의 가장 큰 목표이다. 본 연구는fracture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이해하고 적합한 간호진단, 간호중재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2). 병인과 병태생리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뼈는 모양에 따라 긴뼈(long bone), 짧은뼈(short bone), 납작뼈(flat bone), 불규칙뼈(irregular bone), 종자뼈(sesamoid bone) 총 5가지로 분류된다. 뼈의 기능은 신체의 형태를 제공하고 체중부하, 직립자세를 취하게 하고, 근육과 힘줄의 작용으로 주위 조직을 지지한다. 또 부착된 근육과 관절구조물과 함께 자발적인 운동을 하고, 단단한 틀을 구성하여 뇌, 심장, 폐와 같은 주요 내부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한다. 뼈에 있는 적골수(red bone marrow)에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를 생산하고 칼슘, 인과 같은 무기질을 저장하고 방출한다. 근육은 힘줄에 의해 뼈나 다른 조직과 붙어있는 수축성 조직으로, 민무늬근, 심근, 뼈대근육 세 가지 형태가 있다. 민무늬근은 피부, 내부장기, 생식기, 혈관 및 분비샘에 분포하며 수축하여 연동운동을 하고, 심근은 수축하여 심박동과 심박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뼈대근육은 몸의 자세를 유지시키고, 열을 생산하며, 뼈를 움직이는 데 필수적이다.
참고 자료
황옥남 외 공저(2018).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이강이 외 공저(2018). 건강사정.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1. 현문사
Barbara Herlihy 저 권영은 외 공역(2016). 알기쉬운 해부생리.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