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에서의 재벌과 관련된 담론을 요약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1.26
- 최종 저작일
- 2021.0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정부기업관계론
주제: 한국 사회에서의 재벌과 관련된 담론을 요약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재벌과 재벌개혁의 인식현황
2. 재벌과 정부
1) 경제발전-재벌옹호론
2) 경제발전-재벌개혁론
3. 재벌 개혁의 필요성
1) 동반성장과 상생의 관점
2)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관점
3) 시장 실패와 독과점 규제의 관점
4) 최상의 경제 시나리오
4. 재벌과 관련된 담론
1) 정권과 재벌
2) 국가권력과 재벌
3) 재벌 지배구조 개선
4) 지속가능한 성장
5) 기업조직문화 정착
6) 내부고발체제
7) 재벌개혁
8) 현 문재인정부의 재벌 개혁
9)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한국사회에서의 재벌이란 개인과 그 가족이 소유, 지배하는 거대한 기업지단과 기업집단이 보이는 다각적 경영행태를 포함한다. 이는 사회적 가치나 방향에 의미가 상이하거나 대립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재벌과 정부 정책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경제적 세계화나 정치적 민주화는 재벌을 거대화하고 고착화되며 재벌 개혁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를 완화하기 한 다양한 정책성 방향성의 고찰까지 나타난다. 이에 본론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재벌과 관련한 담론을 요약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재벌과 재벌개혁의 인식현황
재벌 기업은 과거의 독재 정권에서 산업화로 인해 전폭적 지원과 국민의 희생을 기초로 세계적 무대에서 경쟁 가능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다음은 재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로 재벌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의 54.2%는 재벌이 한국 경제의 성장을 주도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재벌 중심 경제 성장의 어두운 부분이 있었다. 정경유착, 편법승계, 갑 질 행태, 불공정거래, 독단경영 등이 뒤를 이었다. 전 박근혜 정부의 국정 농단사태에서 파악하듯 정경유착은 재벌개혁을 촉구한다.
또한 사회적 불평등 심화와 부의 세습은 재벌 주도형 성장으로 인한 부작용이 지적된다.
2. 재벌과 정부
정부와 재벌의 관계에서 보편적 견해는 정부가 산업화를 주도하며 재벌은 그 산물로 보는 것으로 재벌은 정부의 능동적이고 강력한 산업정책의 모범적 결과이다.
재벌 담론에 대한 쟁점은 경제발전, 정경유착, 소유경영, 자본 성격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경제발전-재벌옹호론
재벌은 경제발전의 견인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은 60년대부터 대기업을 중심의 정부정책 실천에 의해 가능했으며 주로 수출전략, 산업발전, 공공사업 등 중심을 두고 자기적으로 추진된 시각이 대표적인 것이다.
참고 자료
재벌 대기업 개혁이 필요한 6가지 이유, 김병권,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1
한국사회에서의 재발 담론에 관한 소고, 장지호, 김정렬, 대한정치화회보, 2011
재벌개혁의 전략과 과제, 김상조, 한성대
한국재벌의 이해와 과제, 이인권 외 3인 저, 한국 경제연구원, 2003
한국 재벌의 소유, 지배 구조 개혁에 관한 쟁점들, 유승경, 정치경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