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분석문 <호텔 르완다(Hotel Rwanda)>
- 최초 등록일
- 2021.01.13
- 최종 저작일
- 2020.1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사실주의 영화인 <호텔 르완다(Hotel Rwanda)>를 분석한 글이다.
목차
1. <호텔 르완다(Hotel Rwanda)>의 간략한 배경설명
2. 장면 분석
1) 평화로운 키갈리의 일상적인 모습
2) 잔인한 폭력과 학살의 현장
(1) 후투군의 폭력에 침묵하는 폴의 가족
(2) 학살의 현장을 마주한 폴
3) 죽음의 두려움에 호텔로 돌아와 주저앉아 버린 폴의 흐느낌
4) 인도주의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장면
(1) 외국인만을 후송하는 프랑스군
(2) 프랑스군의 구조 소식을 듣고 호텔로 몰려드는 사람들
5) 서구열강의 이기심에 반하는 작은 양심
(1) 프랑스군이 외국인만을 선택해 철수한다는 통보를 받은 후의 장면
(2) 학살의 장면이 담긴 비디오를 보게 된 후 폴에게 미안함을 전하려는 잭
6) 호텔 광장에서 토속음악에 맞춰 춤추는 아이들의 장면
3. 결론
본문내용
아프리카의 <쉰들러 리스트>라고도 불리는 영화 <호텔 르완다(Hotel Rwanda)>는 1994년 르완다의 수도 키갈리에서 자행된 대량 학살극을 배경으로, 호텔 밀 콜린스에서 100일 동안 1,268명의 난민을 보호한 지배인 폴 루세사바기나(Paul Rusesabagina)의 실화를 영화화하였다. 북아일랜드 출신인 테리 조지(Terry George) 감독의 작품으로 아프리카대륙의 비극적인 역사를 객관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도 진행형인 아프리카의 잦은 분쟁에 근본적인 원인은 서구열강이 민족분열을 통해, 효과적 식민통치를 하고자 했던 과거의 역사에 있음을, 즉 인종간의 갈등과 학살이 식민 지배의 연장선상에서 벌어졌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였다.
< 중 략 >
감독은 <호텔 르완다>가 제노사이드 제노사이드(genocide) : 인종, 이념 등의 대립을 이유로 특정집단의 구성원을 대량 학살하여 절멸시키려는 행위. 단지 많은 인간을 죽인다는 것이 아니라 어떤 집단의 멸종을 목적으로 한 대량 살육행위를 가리킨다.
를 다룬 영화이기에 그 참혹함을 화면에 그대로 담아내기 위하여 긴박한 순간과 그 시간 안에 사람들의 심리를 버스트 숏, 익스트림 클로즈업, 수평앵글 등을 사용하였고, 사실주의 영화이기에 미장센 협의의 미장센(mise en scène) : 시각적 재료의 공간 배치와 물리적 장치의 세팅.
광의의 미장센 : 배치된 재료와 세팅된 장치가 하나의 총체로서 촬영되는 영화적 방식.
을 가장 적절하게 실현하는 영화언어인 롱테이크 숏을,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 내기 위해 핸드헬드 기법, 교차편집 등을 사용하였다. 또 서구 언론의 보도와 후투 파워 라디오 방송 등을 내레이션으로 사용하여 사건의 전개를 관객에게 전달하였다.
<호텔 르완다>에서 감독의 의도가 잘 담겨있다고 보이는 장면들을 시각적 분석과 청각적 분석을 위주로 하여 영화분석을 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K-books, 2020
배상준, 『미장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윤종욱, 『영화 분석의 기초 개념』,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김현아, 「역사적 망각에 대한 경고, <호텔 르완다>」,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pp.423~443
하상복, 「<호텔 르완다>와 르완다 종족학살 다시 읽기」, 로컬리티인문학, 2019 pp.121~150
임성숙, 「소설 『내 부모의 침실』과 영화 <호텔 르완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영어영문학, 2018 pp.139~158
https://ww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