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최초 등록일
- 2021.01.11
- 최종 저작일
- 2021.01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Bandura의 생애(1925~ )
2. 기본가정
3. 간접적 학습
4. 상호결정주의
5. 관찰학습
1) 모델링
2) 관찰학습에 영향을 주는 모델의 특성
3) 모델링(관찰학습)의 기본견해
4) 관찰학습의 네가지 과정
6. 기본전제
7. 거울뉴런과 모방
8. 관찰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 관찰학습의 활용
10. 반두라의 교육론
본문내용
1. Bandura의 생애 (1925~ )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명예교수
*인간행동과 사회모델의 역할에 관심, 공격성 연구
*초기: 학습이 관찰이나 사회적 장면 속에서 일어난다고 하며 관찰학습, 사회학습이론
*최근: 신념, 자기지각, 기대와 같은 인지적 요인에 초점을 맞춘 사회인지이론
*관찰학습 분야의 선도자이자 연구자
2. 기본가정
*강화를 받지 않아도 관찰, 기억을 통한 학습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경, 개인의 신념 등을 다각적으로 보아야 함을 주장
3. 간접적 학습
*간접적 학습은 강화나 처벌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없이 다른 사람의 행동이 강화되거나 처벌받는 것을 보기만 해도 학습이 일어남을 의미
참고 자료
정순례, 이병임, 조현주, 오대연(2013). 학습이론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