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사, 리츠사, PEF 운용사 개념
- 최초 등록일
- 2020.12.30
- 최종 저작일
- 2020.12
- 3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자산운용사, 리츠사, PEF 운용사의 공통개념을 도출합니다
목차
1. 개념 잡기
2. 리츠사
3. 자산운용사
4.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운용사
본문내용
1. 개념 잡기
(1) 개념
- 자산운용사는 돈을 대신 굴러주는 일을 함. 돈을 받기 위해서는 돈을 집어 넣는 ‘박스’가 있어야 하는데, 그걸 투자기구라고 함
- 합자회사는 유한책임사원과 무한책임사원이 있음. 글자 그대로 유한책임사원은 돈의 책임이 유한한 반면, 무한책임사원은 돈의 책임이 무한함
- 펀드, 조합은 운용을 대신하는 대리인과 돈의 주인인 투자자로 구성. 대리인(agent)을 GP(무한책임사원), 주인(master)을 LP(유한책임사원)라고 함
- 어떤 구조든 GP와 LP 등과 다를 게 없음. GP는 대신 자금을 운용해주는 사람, LP는 쩐주, 즉 투자자임. 리츠든, 공모펀드든, 사모펀드든 벤처조합이든 다르지 않음
- 개념이 없는 곳에 말이 난무한다, 했음. 어찌되었든, 어떤 식으로든 개념을 잡는 게 중요함. 개념은 개인차가 있어, 자기가 신고 있는 신발처럼 딱 맞는(fit)는 걸 찾아내는 것은 본인의 몫
2. 리츠사
(1) 리츠사
- 운용에 있어서는 리츠회사도 동일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