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학 중국 특강 독후감 및 서평
- 최초 등록일
- 2020.12.24
- 최종 저작일
- 2020.12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하버드대학 중국 특강은 6개 파트와 36개 챕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 대학교 중국학 수업에서 토론 주제로 흔히 쓰이는 9개 챕터에 대해서 주관적 의견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 부분에 책에 대한 서평과 느낀점 등을 남겼습니다.
목차
1. 아시아를 이끄는 국가가 될 수 있을 것인가: 자국 이기주의에서 벗어난 통합적 리더의 필요성
2. 중국의 빈곤 퇴치 정책이 시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개발도상국이 중국의 핵심 전략에서 배울 수 있는 것
3. 중국인들이 미국 유학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국 대학이 신뢰감을 주지 못하는 까닭
4. 지금 중국에서 공자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공자의 부활과 중국이 꿈꾸는 국가의 미래상
5. 중국 문명에서 실크로드의 의미는 무엇인가: 복잡하고 다양한 중국 문명 태동의 열쇠
6. 중국 정치에서 지식인의 역할은 무엇인가: 체제 옹호와 비판 사이에서 모색하는 중국적 가치
7. 고전 소설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고전 읽기의 즐거움 속에서 찾는 도덕적, 정치적 메시지
8. 중국의 작가들이 꿈꾸는 미래는 무엇인가: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사이에서 중국 문학이 꾸는 꿈
9. 왜 여전히 문화대혁명에 대해 말하지 못하는가: 국가가 아닌 개인에게 각인된 문화대혁명을 기억한다는 것
10. 하버드대학 중국 특강을 읽으면서
본문내용
아시아를 이끄는 국가가 될 수 있을 것인가: 자국 이기주의에서 벗어난 통합적 리더의 필요성
아시아를 이끄는 국가가 되려면 아시아 국가들의 지지를 받는 나라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 대한 주변국들의 인식을 생각해보면 과거보다 부정적 인식이 강해 보인다. 자본주의 원리로 굴러가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이다. 아무리 중국이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인프라를 발달시킨다 해도 정보를 숨기거나 조작 및 은폐하려고 든다면 주변국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까? 주변국들의 지지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전 세계 패권을 쥐기는커녕 아시아를 이끈다고 하기도 어려울 것 같다.
중국의 빈곤 퇴치 정책이 시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개발도상국이 중국의 핵심 전략에서 배울 수 있는 것
중국의 빈곤 퇴치 전략의 핵심은 데이터, 발전, 복지, 이 세 가지이다. 중국 정부는 빈곤 수준을 수치화하기 위해 전 세계의 다양한 수치화 방식을 연구하면서도 자체적인 기준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경제 성장과 분배 방식도 빈곤 감소에 크게 공헌했다. 특히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 농업 개혁을 통해 대다수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면서 빈곤 수준을 획기적으로 낮췄다. 이는 또한 토지의 공평 분배로 이어져 농업 생산 이익을 더 많은 사람이 폭넓게 공유할 수 있게 됐다. 중국은 장기적 관점으로 볼 때, 절대적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인적 자원을 육성하는 복지 정책이 정치적 안정과 경제 성장 동력을 이끌어낼 것으로 보았다. 유엔에 따르면, 중국은 절대 빈곤 발생률을 94%나 줄일 정도로 그들의 빈곤 퇴치 전략은 성공적이었다. 이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사회가 변하면서 빈곤의 개념도 변화한다는 것이다. 신세대는 기성세대가 겪었던 생활고를 피하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못한다. 절대적 빈곤을 해결한 이후의 중국은 상대적 빈곤이라는 과제를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하버드대학 중국 특강 | 하버드대학 중국연구소 | 미래의창 | 2018.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