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공학실습 이주한 레포트순위 1등
- 최초 등록일
- 2020.12.23
- 최종 저작일
- 2020.11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통신공학실습 이주한 레포트순위 1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INTRODUCTION
A. 실험 목적
II.PRE-LAB REPORT
A.Background knowledge
B.Pre-Lab
본문내용
I.INTRODUCTION
A. 실험 목적
-통신공학에서 배운 FM 변조 및 검파, 복조기에 대해 이해하고 실제 회로를 통해 구현해보며 파형을 확인해본다.
II.PRE-LAB REPORT
A.Background knowledge
-∆f=f_(i(max)-) f_c=k_f A_m: 주파수 변이
-B=2(∆f+W)=2∆f(1+W/∆f)=2∆f(1+m) FM 변조 대역폭
-m=∆f/f_m : 변조 지수
<중 략>
-파란색은 메시지 신호를 FFT한 결과이고, 주황색은 FM 변조된 신호를 FFT한 결과이다. 이를 보면 carrier로 준 100Hz에서 캐리어 성분이 살아있고, message 성분의 10Hz가 message 성분 옆쪽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M 변조의 특징인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는 것과 캐리어 성분으로 인해 전력의 소모가 심하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캐리어 성분이 살아있기 때문에 이를 미분하여 AM 신호처럼 만든 후 포락선 검파를 통해 복조가 가능하다.
-LTSpice에서 FFT 출력 결과를 보면 회로의 출력의 주파수인 13k에 캐리어 성분이 있고, 그 양 옆에 message 성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gain이 높은 구간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FM이 대역폭을 많이 차지해 실제로 라디오 방송을 할 때도 방송사마다 넓은 대역폭을 분배하여 이용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영길, “기초 통신 이론”, 한빛아카데미, p87-94
이주한, “실험06_FM_변조_및_복조”
김충원, 양희덕, 정현숙, “MATLAB으로 배우는 디지털 영상처리”,생능출판사,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