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해양학] 인산염 실험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0.12.21
- 최종 저작일
- 2020.06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화학해양학] 인산염 실험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A. 실험 목적
B. 실험 이론
II. 재료 및 방법
A. 실험 재료
B. 실험 방법
III. 토의
A. 결과
B. 고찰
C. 유의할 점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A. 실험 목적
분광분석기를 활용하여 인산염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통계적 기법을 활용해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익힌다.
B. 실험 이론
1. 인산염
인산의 염으로서 무기화합물이다. 인산의 종류에 따라 오쏘인산염, 메타인산염, 이인산염, 삼인산염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보통은 오쏘인산염(정인산염)을 가리킨다. 이것은 3염기산이며, 치환되는 수소원자의 수에 따라 1차, 2차, 3차의 3종의 인산염이 있다. 1차염은 모두 물에 녹지만, 2차염과 3차염은 알칼리염만이 녹고, 3차염은 2차염ㅁ보다 녹기 어렵다. 1차염을 가열하면 물을 잃고, 메타인산염이 되고, 2차염의 경우는 피로인산염이 되지만, 3차염은 가열해도 변하지 않는다. 비료로 쓰인다.
2. 인산염인
인산염인은 지질의 원인에 의하여 물속에 존재하지만 대부분 분뇨, 사체, 폐수 및 비료 등의 유입으로 생성된다. 인산염인은 독성이 없고 인체에 직접적인 피해는 주지 않으나 질소와 더불어 하천 및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을 일으키며 해역의 적조현상의 주요 오염물질이다.
3. 흡광광도법
- 염화제일주석 환원법
인산이온이 몰리브덴산 암모늄과 반응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인 암모늄을 염화제일주석으로 환원하여 생성된 몰리브덴 청의 흡광도를 690nm에서 측정하여 인산염인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정량범위는 0,002~0,05mg PO4-P이며, 표준편차는 10~2%이다.
- 아스코르빈산환원법
인산이온이 몰리브덴산암모늄과 반응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인암모늄을 아스코르빈산으로 환원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 청의 흡광도를 880nm에서 측정하여 인산염인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염소화물, 황산염 등 다량의 염류를 함유하고 있는 시료에 적용할 수 있다. 정량범위는 0.002~0.05mg PO4-P이며, 표준편차는 10~2%이다. 880nm에서 흡광도 측정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710nm에서 측정한다.
참고 자료
환경부. (2014).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환경부고시, pp. 188-190
대학화학교재편찬회. (2014). 일반화학실험, 사이플러스, 서울, pp. 195-196
물백과사전. “검량선” [네이버 지식백과]물백과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 ocId=3391264&cid=60289&categoryId=60289
화학백과. “정밀도”[네이버 지식백과]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 =5827571&cid=62802&categoryId=62802
화학백과. “검출 한계”[네이버 지식백과]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 y.nhn?docId=5827630&cid=62802&categoryId=62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