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인장치의 종류와 간호
- 최초 등록일
- 2020.12.16
- 최종 저작일
- 2020.12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견인장치의 종류와 간호에 대해 자세하게 기재하였습니다. :)
목차
없음
본문내용
• 견인은 정복, 배열상태 유지, 휴식을 위해 신체의 한 부위에 잡아당기는 힘, 즉 견인력을 제공하는 것
• 견인의 목적: 근육경련의 감소 혹은 예방, 정복과 정렬의 유지, 불구의 교정과 예방, 척추의 압박요인 제거, 치유기간 동안 환부의 고정
• 직접견인은 당기는 힘이 한 방향으로만 주어지며 환자의 신체가 대항견인의 역할을 한다. 환자가 움직이거나 자세만 바꾸어도 대항견인의 힘이 변화된다.
• 평형현수견인은 대항견인을 제공하므로 환자나 침대가 이동해도 견인력이 변하지 않는다. 환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간호하기가 쉽다.
피부견인
피부견인은 벨크로 장화, 벨트, 턱걸이 등을 신체부위에 적용하여 견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부에 직접 견인력을 적용하며, 뼈, 근육, 연조직 등을 간접적으로 고정한다.
• 목적: 수술 전 부종예방과 골절로 인해 유발되어 통증을 일으키는 근육경련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 추의무게: 2.3~4.5kg으로 제한한다.(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