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A+받은 과제) 생명의료윤리 - 안락사에 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20.12.16
- 최종 저작일
- 2020.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생명의료윤리와 관련된 사례 중 안락사를 다룬 레포트입니다.
관련 논문들을 분석해가며 생명의료윤리의 4가지 원칙에 따라 주제와 사례를 고찰하였고, 마지막에는 간호사로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목차
1. 안락사가 도덕적으로 정당화되는지에 대한 고찰
2. 20년간 뇌졸중으로 와상상태에 있는 90세의 노인의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판단과 생명의료윤리 4가지 원칙에 의거한 분석 및 판단내용
3. 간호사로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의 제시
본문내용
안락사는 수많은 기준에 따라 논쟁이 벌어지는 민감하고 조심스러운 생명윤리적 문제이다. 이에 관해서 우리는 윤리적 행위를 추론하는 틀 중 공리주의의 입장을 채택하여 안락사의 문제에 대해서 접근해 보았으며, 이에 관해 생명의료윤리의 4가지 원칙을 적용하여 판단해보았다.
1. 안락사는 도덕적으로 정당화되는가?
먼저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 따라 환자의 자율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총 세 가지의 경우로 상황이 나뉜다. 첫 번째는 판단 능력이 있는 성인 환자의 동의를 전제로 이루어지는 자발적 안락사, 두 번째는 환자가 동의하지 않음에도 행해지는 반 자발적 안락사, 그리고 세 번째로는 장애를 가진 어린 환자나 혼수상태, 정신장애자와 같이 환자가 자신의 죽음을 선택할 능력이 없을 때 보호자의 동의하에 이루어지는 비자발적 안락사로 나누어볼 수 있다.
행위 공리주의의 입장에서는 모든 사람이 고려되었을 때, 악에 비해 최대의 선이 산출되는 행위를 해야 하므로 첫 번째와 세 번째의 경우에 대해서는 안락사가 도덕적으로 정당화가 되는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문종길. 더 좋은 삶을 위한 도덕 주제들. 5장, 인간은 절대적 가치를 지니는가?. 서울:책과 나무;2014. 106p.
금교영. 생명 의료 윤리. 세종출판사;2000. 196p
김일순 외 2명. 의료윤리의 네 원칙. 계축문화사;1999. 228~232p
정재훈. 뇌졸중환자와 골절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 대한통합의학회지, 2019, 7.4: 213-222.
성미혜 외 2명. 안락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Asian Oncology Nursing, 2007, 7.2: 140-149.
김지연. 우울증환자의 희망정도와 가족지지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