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보고서 항생제감수성실험
- 최초 등록일
- 2020.12.13
- 최종 저작일
- 2020.05
- 4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배경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제목 : 항생제 감수성 실험
2. 실험목적 : 디스크 확산법(Kirby-Bauer방법)을 사용하여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을 알아본다.
3. 실험배경
항생물질 :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거나 사멸시키는 약물.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한다.
항생제의 작용기전 : 세포벽합성억제(베타락탐계항생제(amoxicillin 등), 반코마이신), 세포막 투과성변화(폴리믹신, 암포테리신), 단백질합성억제(테트라사이클린, 아미노클리코사이드, kanamycin), 핵산합성억제(리팜핀, 퀴놀론), 엽산합성억제(설파계, 피리메타민)
항생제 감수성 및 내성 확인 : 최소억제농도(MIC) 측정, 원통평판법, 디스크 확산법 등의 실험으로 가능하다.
최소억제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 시험관내 세균 감수성 검사(in vitro sensitivity test)에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항생제의 최저농도. 향균력을 측정하는 가장 기초적인 지표. 일반적으로 병원균이 어떤 항생제에 민감하다는 것은 표준 용량의 향균제를 투여한 후 혈청농도가 적어도 MIC의 4배 이상이 될 때를 말한다.
참고 자료
실험 미생물학 (미생물 면역분과학회,2013,p.140~143)
국가건강정보포털, “항생제:항생제의 작용기전 및 분류”, https://health.cdc.go.kr/health/Resource/Module/Content/Printok.do?idx=4440&subIdx=1
이동건(2008), 항생제의 약동학/약역학 : 기본개념 및 임상응용
Druginfo, “Tobramycin 3mg”,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222691
위키백과, “베타-락탐계열 항생제”, https://ko.wikipedia.org/wiki/%EB%B2%A0%ED%83%80-%EB%9D%BD%ED%83%90%EA%B3%84%EC%97%B4_%ED%95%AD%EC%83%9D%EC%A0%9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