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실습] 건강증진사업 / 지역사회중심 재활보건사업 / 치매안심센터
- 최초 등록일
- 2020.12.07
- 최종 저작일
- 2020.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2020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보고서를 참고하여 직접 작성한 과제입니다.
목차
1. 건강증진사업
2. 지역사회중심재활보건사업
3. 치매안심센터
본문내용
1. 건강증진사업
(1) 금연정책의 배경 및 필요성
- 우리나라 성인남성의 흡연율은 1998년 66.3%에서 담배가격 인상, 금연구역 지정 및 확대 등 강화된 금연정책 시행에 따른 금연 규범의 확산으로 2018년 36.7%까지 감소하였으나, 만 15세 이상 남성 흡연율은 31.6%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성인여성 흡연율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임(2001년 5.2% → 2018년 7.5%).
- 담배는 예방 가능한 사망의 가장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며, 직접적인 소비 뿐 아니라 간접흡연에 의한 노출 또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침.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매년 약 600만 명이 담배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그 중 60만 명 이상은 간접흡연 노출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됨. 담배로 인한 사망은 전 세계 남성 사망의 12%, 여성 사망의 7%를 차지함.
- 모든 폐암 사망의 71%, 만성 호흡기 질환의 42%, 심혈관 질환의 10%는 흡연에서 기인하며, 흡연은 만성질환 뿐 아니라 결핵 및 하기도 호흡기 감염 등 감염성 질환의 주요한 원인임. 또한 중년 남성의 조기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위험 요인이며, 중년 여성에서는 고혈압에 이은 두 번째 위험요인임.
(2) 보건소 금연클리닉
- 담당인력
⦁금연클리닉 의사 : 보건소 의사 중 1인 이상. 금연상담사의 의뢰를 받아 약물처방을 하거나 진료
⦁금연상담사(청소년 전담인력 1인 지정) : 보건소 금연클리닉 상담서비스 제공 및 평가. 찾아가는 연 클리닉 운영 등
- 주요업무
⦁내소자 대상 금연상담 : 금연상담(행동요법) 및 금연보조제 제공
⦁경로당 순회 금연상담 : 금연상담(행동요법) 및 금연보조제 제공, 노인건강체조, 내 혈압∙혈당 바로 알기, 노인영양관리 병행
⦁사업장 금연상담 : 금연전문상담사 사업장 방문 및 상담
- 서비스 제공절차(흐름도)
참고 자료
2020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