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 따른 한국 경제시장의 변화(2017)
- 최초 등록일
- 2020.11.26
- 최종 저작일
- 2017.06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 따른 한국 경제시장의 변화(2017)"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금리경로
2) 환율경로
3) 기대경로
4) 자산 가격경로
3. 결론
본문내용
1조의 주제는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 따른 한국 경제시장의 변화’이다. 구체적으로 레포트 전체에 관한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먼저 본 서론에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 관한 개념과 운영체계에 관한 설명을 하고, 이러한 통화정책에는 어떤 종류의 수단들이 있는지에 대해서 언급하려고 한다. 이후 본론에서는 서론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방법의 통화정책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한국 경제와 시장에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개별적인 내용들에 관한 설명을 이어갈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결론에서는 통화정책의 파급 경로를 종합하면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논하고 마무리를 지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선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보통 경제학에서는 기업의 투자나 가계의 소비가 이자율에 따라 변동하는 특성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특성을 탄력성이라고 하는데, 바로 이런 개념을 이용하여 중앙은행이 돈의 양을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국민 경제활동의 수준을 적정하게 조절하는 것을 우리는 통화정책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하면, 통화정책은 중앙은행이 한 국가의 화폐 공급이나 유용성, 화폐가치, 금리 등을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거나 혹은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조치들을 일컫는다. 중앙은행은 이러한 통화정책을 수행할 때 ‘기준금리’를 그 지표로 삼는다. 기준금리를 변경하고 여기에 맞춰 통화량을 조절하면 금융시장에서 다양한 금리들 즉, 콜금리, 채권금리, 은행예금 및 대출금리 등이 함께 변동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통화정책의 운영체계에 관하여 크게 두 가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첫째로는 물가안정목표제이다. 이것은 현재 한국은행이 채택하고 있는 통화정책 운영체제로서 통화량 등의 중간목표를 두지 않고 정책의 최종 목표인 ‘물가상승률’ 그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이를 달성하려 하는 통화정책 운영방식이다.
참고 자료
한국경제 기사 http://news.hankyung.com/economy/2016/07/14/2016071449071?nv=o
스페셜 경제 뉴스 http://blog.naver.com/speconomy/220298882127
경향신문2017.02.15.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702151143018&code=920202#csidxa0fbf51f0a2efc680120856c4eefaad
금융경제연구 논문 ‘미국과 일본의 통화정책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분석’(2001.01 경기대 경제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