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 인간론 - 구속언약
- 최초 등록일
- 2020.11.25
- 최종 저작일
- 2020.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조직신학 인간론 - 구속언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본론
1) 언약의 명칭과 개념
2) 구속언약
3) 여러 관계
4) 구속언약에 대한 견해
3. 나가는 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어가는 말
하나님은 무한(無限), 영원(永遠), 불변(不變)하는 지성의 소유자로서, 그는 그의 시간 안에서 하실 그의 모든 사역의 포함적 불가변적 계획을 창세전부터 세우셨다. 그 중에도 그의 예정하심은 타락하여 영원한 형벌가운데 있을 인생을 택하셔서, 구원의 경륜속에 그 계획을 세심(細心)과 열의(熱意)로써 이루어 가신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구원의 계획은 구원의 사역을 분담하시는 하나님 안에서와 그 대상이 될 사람에 대해서 언약(言約)의 성격(性格)을 취하시게 된다.
우리는 그러한 가운데 하나님의 언약의 내용을 논의하기에 앞서 인류의 조상이요 대표인 아담에게 맺어진 행위언약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아래 이루어 가시는 은혜언약을 들어내시기 위한 창세전 삼위일체 사이의 구속언약(인간의 구속에 대한 의논(consilium)과 교통(communicatio)하심)이 어떠한 것인지 살펴 볼 수 있어야 하겠다. 이 글에서는 벌코프의 「 조직신학」의 내용을 바탕으로 언약의 개념을 살펴 본 후, 구속언약이 어떠한 내용인지 또, 그 견해에 관해 논의 되고 있는 학자들 간의 견해들 중에 우리가 갖아야 할 개념은 어떤 것인지 살펴볼 수 있도록 하겠다.
본론
1. 언약의 명칭과 개념
1) 언약의 명칭
(1)구약에서
‘언약’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언제나 베리트인데, 어원은 확실하지 않다. 통상적으로 ‘자르다’는 의미를 가진 히브리어 동사 바라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측한다. 이런 추측에 의거 창15:17에서 거론된 의식이 언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학자들은 ‘묶는다’는 뜻을 가진 앗시리아어 베리투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베리트는 쌍방간에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합의 또는 어느 한편이 다른 편에게 부과하는 약정을 의미한다. 이 말의 정확한 의미는 어원이나 개념의 역사적 발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언약의 쌍방에 의존한다. 어느 한 편이 복종하는 입장에 서고 다른 한 편보다 말을 적게 하는 입장을 취할 때, 언약은 어느 한편이 다른 편에게 부과하는 약정의 성격을 띤다.
참고 자료
김영규 조직신학 편람Ⅲ 구원론, 개혁주의 성경 연구소, 2005,
박해경, 챠트로 본 조기신학, 아가페 문화사 1998
벌코프, 조직신학(상) 크리스챤 다이제트, 2002.
벌코프 조직신학 개론 박희석역 크리스챤 다이제트, 2004
A.A. 하지,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서 해설, 김종흡 역, 크리스챤 다이제트, 2004
박형룡, 박형룡박사저작선집 Ⅲ(인죄론), 개혁주의신행협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