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문예사조- 입체주의(Cubism)
- 최초 등록일
- 2020.11.25
- 최종 저작일
- 2020.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유럽문예사조- 입체주의(Cubism)"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입체주의의 등장 대상을 보는 시각의 전환
2. 입체주의(Cubism) 명명
3. 입체주의(Cubism) 작품의 특징
4. 입체주의의 발전과정
1) 초기 입체파
2) 분석적 입체파
3) 종합적 입체파
5. 미래주의, 오르피즘, 신조형주의 새로운 미술 양식의 발생에 영향을 주다.
본문내용
1. 입체주의의 등장 – 대상을 보는 시각의 전환
입체주의는 20세기 초에 프랑스 파리에서 일어난 미술 운동이다. 입체주의는 사물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려고 했다. 그런데 3차원의 사물을 2차원의 화폭에 담으려니 자연히 입방체1)가 많아졌고 그래서 입체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피카소, 브라크가 있다.
사물을 한 방향에서 바라보던 있는 그대로의 사물을 있는 그대로 그리려고 했던 것이 이전까지의 정물화였다면 입체주의는 사물을 여러 방향에서 본 모습을 한 화폭 안에 담아낸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화법이었다.
2. 입체주의(Cubism) 명명
브라크 <에스타크의 집>
입체주의의 기원으로 일컬어지는 작품은 피카소의 <아비뇽의 아가씨들>과 브라크의 <에스타크의 집>이다. 입체주의(Cubism)은 <에스타크의 집>을 본 앙리 마티스가 조그만한 입방체(cube)들을 모아 놓은 것 같다고 평가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1908년 미술 비평가 루이 보셀이 브라크의 작품을 비형할 때 마티를 인용하면서 ‘Cubism’이라는 표현을 쓴 것으로 명칭이 굳어졌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