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한국(근대)교육
- 최초 등록일
- 2020.11.23
- 최종 저작일
- 2013.07
- 9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500원

소개글
"개화기 한국(근대)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화기 근대교육의 발단
2. 근대학교의 성립
3. 신학제의 수립과 관학의 설립
본문내용
개화기 근대교육의 발단
문호개방과 근대화의 추진
오랫동안 쇄국정책 견지 → 1876년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 이후, 세계열강에 문호개방
: 대외관계의 변화 의미, 모든 구제도에서 벗어나 새로운 제도로 진입하는 계기가 됨.
개화 또는 근대화는 발달된 서구문명을 받아들이는 것과 직결
→ 외국 문물제도를 직접보고 배워보기 위해 중국, 일본 시찰.
1876년 김기수 등 75명의 수신사 파견(일본)
1880년 김홍집 등 58명의 수신사 파견(일본)
:군사, 교육, 산업 등 각 분야의 발전상 시찰.
김홍집의 일본 문물제도 대한 주장
→1881년 박정양 둥 10여인의 신사유람단 파견(일본)
:군사, 교육, 산업, 행정 등을 시찰함.
1881년 11월 김윤식을 영선사(청나라)로 삼아 60여명 학생 보냄
:신식 병기의 제도법과 그 조련법을 배워 오도록 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