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회계 조작으로 인한 분식회계 사건
- 최초 등록일
- 2020.11.14
- 최종 저작일
- 2019.05
- 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목차
1. 개요 (원가회계, 분식회계)
2. 기업의 원가조작 사례
3. 원가조작 방지대책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원가 회계
원가회계란 외부 또는 내부정보이용자의 목적에 적합한 원가정보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회계 시스템을 말하며, 제품,부서,기능 등의 특정원가 목적에 따라서 발생된 원가정보를 산출해 보고한 원가회계는 재무회계보고서와 관리회계보고서의 작성을 위한 베이스를 제공한다. 쉽게 말해 제품생산에 소요되는 원가를 파악하고, 측정, 기록, 요약하여 기업경영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원가정보를 획득하고, 제조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명백히 하는 회계분야를 말한다.
(2) 분식회계
분식회계란 기업이 고의로 자산이나 이익 등을 크게 부풀리고 부채를 적게 계상함으로써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그리고 재무상태의 변동을 고의로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할 때나 자기 회사 주식의 주가 관리를 위해서 자기 회사 제품을 팔지도 않은 상태에서 매출을 계상 하거나 자산의 가치를 과대 평가하고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이나 차입한 자금인 부채를 과소 계상하는 등의 방법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분식회계는 투자자 등에 대한 단순 사기행위에 그치지 않고 시장기능을 통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왜곡시켜 국민경제에 막대한 부담을 지우는 중대한 반사회적인 범죄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장부 조작 문제는 예전부터 전 세계에 있었으나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완벽하지 않은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 문제에 더욱 취약하다.
분식회계의 유형으로는 ⓵자산의 과대계상, ⓶부채의 과소계상 ⓷수익의 과대계상 ⓸비용의 과소계상 ⓹특수관계자와의 거래이용 ⓺합병 또는 기업분할 ⓻파생상품거래이용 등이 있다.
참고 자료
최수미, “회계부실의 7가지 유혹”, LG주간경제, 2002
유진, “기업신용평가에서의 회계분식 및 대책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6
금융감독원 공식 블로그, http://fssblog.com/140188649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