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실험 보고서 - 대장균 확정 시험
- 최초 등록일
- 2020.11.06
- 최종 저작일
- 2019.09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미생물학 실험 보고서 - 대장균 확정 시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리 및 목적
1) Entero(장내)bacteriaceae
2) 대장균군 검사
3) 유당배지를 이용한 대장균군의 정성시험
2. 재료 및 시약
3. 실험 방법
4.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 Entero(장내)bacteriaceae
- 세균의 형태: 간균
- 염색의 형태: Gram 음성
- 생존시 산소의 필요: 통성혐기성
- 운동성: 극모있는 간균
- 장내세균군
- 종류: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higella 등
➀ Escherichia 속(대장균)
- lactose를 분해하여 co2를 발생.
- 사람, 온혈동물의 장관에 서식하며 비타민K를 합성
- 통성 혐기성으로 대장 내 산소를 소비하여 혐기적상태를 만듦.
- 식품위생상 중요한 지표로서 식품의 오염정도를 나타냄.
➁ Salmonella 속
- E. coli 와 비슷하지만 탄소원으로 Citrate(구연산)를 이용한다는 점이 다름.
- Salmonella typhi(장티푸스), Salmonella enteritidis(장염균) 등 식중독 균들이다.
- 주로 가금류의 장에 서식
➂ Proteus 속
- 동물 대변에서 주로 발견되는 주모를 가진 간균
- 병원성으로는 방광염을 일으키기도 하며 육류 부패균은 H2S를 생산.
※ Vibrionaceae
- 대표적인 균인 Vibrio cholerae 콜레라균은 대표적인 식중독균
- 주로 어패류에 존재하는 장내 미생물
■ 대장균군 검사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이질균 등의 소화기계 전염병원균이 식품 중에 존재해서는 안 됩니다. 모든 식품에 대해서 병원균 존재 여부를 검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분변 중에 존재하며 검사가 용이한 대장균군을 분변오염의 지표세균으로 하고 있습니다. 지표세균으로서 장구균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장균군이 검출되는 식품은 소화기계 병원균이 존재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식품의 제조나 보관상태가 불결했다는 증거입니다. 대장균군(coliform group)이란 Gram음성, 포자는 형성하지 않는 간균이며 lactose를 분해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의 균으로..
<중 략>
참고 자료
유주현 외, 응용미생물학실험, 효일출판사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 ▶ 제 8. 일반시험법 ▶ 4. 미생물시험법 ▶ 4.7 대장균군 ▶ 4.7.1 정성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