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실험 보고서 - gram 염색, 그람염색
- 최초 등록일
- 2020.11.06
- 최종 저작일
- 2019.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미생물학 실험 보고서 - gram 염색, 그람염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리 및 목적
2. 재료 및 시약
3. 실험 방법
4.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세균의 세포벽은 세포막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강인한 구조로서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마이코플라스마를 제외한 모든 세균에 존재합니다. 세포벽은 세포를 외부로부터 보호, 세포형태 유지, 선택적 출입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세포벽은 구조에 따라 Gram양성균과 Gram음성균으로 구분됩니다. 세포벽은 아미노당 중합체의 당쇄가 펩타이드로 서로 결합한 구조인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의 기본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Gram(+)은 90% 펩티도글리칸 + 약간의 테이코산(당알코올 인산중합체)인 1개의 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Gram(-)은 지다당층(LPS, lipopolysaccharides) + 지단백층(lipoprotein) +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인 3개의 층ㅇ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Gram염색을 통해 세포벽의 성상에 따라 Gram양성과 음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의 염색은 “시료(희석)->도말->건조->고정->염색->세척->검경” 순서로 이루어 지며 crystal violet에 의해 모두 보라색으로 염색되며, 알코올 또는 아세톤에 의한 탈색에서 Gram(-)은 세포벽이 얇아 탈색되고 Gram(+)은 펩티도글리칸 층이 두꺼워 탈색이 안 됩니다. 그리고 safranin에 의한 대비염색을 통해 Gram(-)은 적색으로 염색됩니다. 결과적으로 Gram(+)은 펩티도글리칸 층이 두꺼워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Gram(-)은 펩티도글리칸 층이 얇아 붉은색으로 염색됩니다.
또한 Gram(+)은 주로 환경이 안 좋은 곳에 서식하고 대표적으로 Staphylococcus(포도상구균)이 있으며, Gram(-)은 환경이 좋은 곳에 서식하는 장내미생균인 Escherichia coli(E. coli, 대장균)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Gram염색은 활발하게 증식하고 있는 균(대수기의 균)을 사용하여야 하며 배양이 오래되면 염색성이 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참고 자료
유주현 외, 응용미생물학실험, 효일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