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문학교육에서의 정전 구성
- 최초 등록일
- 2020.11.02
- 최종 저작일
- 2010.06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정전과 문학교육
2. 가치 상충과 통합의 문화교육
3. 정전 구성 원리의 변화와 지향
4. 학교 교육과 정전 논의
5. 나아가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전과 문학교육
정전에 대해서 논의하는 이런저런 글에 ‘약방의 감초’처럼 나오는 정의(定義)를 인용하면서 이 글을 시작하고자 한다. ‘정전(正典, canon)’은 측정의 도구로 사용된‘갈대’나 ‘장대’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의‘kanon’에서 유래한 말이었으며, 이후‘kanon’은‘규칙’혹은‘법’이라는 제2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J.Guillory, 박찬부 역, 「정전」,『문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프랭크 랜트리키아 외 공편),한신문화사,1994, p.303~305.
문학연구나 문학교육에서 보존하거나 학습할 가치가 있는 텍스트나 작가의 목록을 말하는 것으로, 유럽에서는 20세기 이후 문화(culture) 개념이 확장되면서 정전 목록의 대표성과 객관성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면서 정전 목록을 해체해야 한다는 논쟁이 전개되었다.
특히 문학교육 정전의 경우 문학 정전처럼 여러 차례의 개념적 변화를 겪었다. 특히 초․중등교육에 한정할 때, 그것은‘교육’이라는 국가주도의 프로그램 안에서 선택된 가치 체계에 의해 편제된 역사를 가진다. 그래서 문학교육 정전은 여러 면에서 국가주의적 관점에서의 선택과 배제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가령, 분단 이후 대한민국 문학교육은 교육을 통해 지배 이념을 전달하려는 정치적 의도와 긴밀하게 결합하면서 펼쳐졌다.
참고 자료
고규진,「다문화시대의 문학 정전」,『독일언어문학』제23집, 독일언어문학회, 2004.
박인기,「문학교육과 문학 정전의 새로운 관계 맺기」,『문학교육학』제25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박기수,「문화콘텐츠 정전 구성을 위한 시론」,『문학교육학』제25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J.Guillory, 박찬부 역, 「정전」,『문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프랭크 랜트리키아 외 공편),한신문화사,1994,
윤여탁, 「한국의 문학교육과 정전」,『문학교육학』제27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