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위한한국문화교육론
- 최초 등록일
- 2020.11.02
- 최종 저작일
- 2019.10
- 4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언어 의사소통의 특징과 기능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유형
3. 초급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 의사소통 교육의 내용 및 활용
Ⅲ. 결론
본문내용
최근 한류의 높은 인기로 인해 한국 문화를 사랑하고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는 외국인이 급격히 늘고 있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한국 문화의 교육에 대한 다양한 방안 및 요구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습자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교육 목표가 될 것이며, 이때 요구되는 것이 바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지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문화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자국의 비언어와 한국어의 비언어적 표현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 중에서도 문화를 반영하는 비언어 의사소통의 기능과 유형에 대해 분석해 보고, 최근 급증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 의사소통 교육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참고 자료
박정미(2019),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백승옥(2017), 재미동포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비언어적표현 교육방안 연구
김남경(2015), 한국의 영상자료를 이용한 언어•문화 교수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