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불교와 이데아론의 유사와 차이
- 최초 등록일
- 2020.10.25
- 최종 저작일
- 2019.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현대사회에서 불교와 이데아론의 유사와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불교사상과 이데아론의 유사성
III. 불교사상과 이데아론의 차이점
IV. 현대사회에서 보다 적합한 관점은 무엇인가
V. 미래에는 어떠한 관점이 보다 적합할까
V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헤르만 헤세의 소설 『싯다르타』에서 싯다르타는 한없이 흐르는 강물을 보며 인생에 대해 깨닫는다. 강물은 끝없이 흐르고 연속적이기에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흘러간다. 싯다르타가 뱃사공 일을 하다가 흐르는 강물을 보고 문득 무언가를 깨닫는 모습은 소설 『싯다르타』를 읽은 사람이라면 인상 깊은 장면으로 꼭 꼽을만한 장면이다. 모든 것은 변하고 움직이며, 불변의 것은 없다. 또한 모든 것들은 연속성을 가지며, 서로 관계를 가진다. 본고는 이것이 불교사상의 가장 큰 틀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플라톤은 『향연』을 비롯한 그의 여러 저서들에서 불교사상과는 다소 상반된 견해를 보여준다. 『향연』에서 등장하는 에로스의 사다리에 끝에 있는 진리, 즉 이데아는 아름다움 자체를 직관하는 것이며 증감 없이 불변하는 어떠한 절대적 아름다움으로 일컬어진다. 플라톤과 고타마 싯다르타. 두 인물 전부 많은 사람들에게 깨우침을 준 철학자들이다. 본고는 헤르만 헤세의 소설 『싯다르타』와 플라톤의 『향연』을 읽고 일련의 의문이 들었다.
물론 플라톤과 불교사상은 놀랍도록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가장 진리에 가까운 부분에서 큰 차이점을 드러낸다. 모든 것은 정해진 형태가 없고 결국 변한다는 불교사상과는 달리 플라톤은 어디엔가 절대불변의 진리(이데아)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고는 앞서 언급했듯이 이들이 근본적으로 주장하는 바가 대립하기 때문에 『싯다르타』에 등장한 불교적 사상을 바탕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교해 보며 유사와 차이를 살펴볼 것이며, 두 사상을 비교한 후 현대사회와 미래에서 각각 어떠한 사상이 더 적합할지에 대해 고찰하며 그에 따른 결론을 내릴 것이다.
II. 불교와 이데아론의 유사성
현재는 다소 연구가 부족하지만 불교와 플라톤의 이데아론에는 꽤 많은 유사성이 존재한다.
첫째로 덕을 가르칠 수 있는가에 대한 소크라테스와 붓다의 의견이 있다.
참고 자료
플라톤, 강철웅 역, 『향연』, 이제이북스, 2010
헤르만 헤세, 박광자 역, 『싯다르타』, 부북스, 2013
박병기, 이철주. (2012).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편에 나타난 덕의 통합성과 그 도덕교육적 의미. 윤리교육연구, 29
신원봉 ( Won Bong Shin ). 2012. 인간의 전락(轉落)과 완성(完成)에 관한 플라톤과 불교사상의 관점 비교. 동양문화연구, 9(0):
허인섭. (2000). 특집 : 한국불교전통에 대한 반성과 전망 ; 근본불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불교의 윤리관 고찰. 철학사상, 11(0)
조남진. (1998). 플라톤의 『국가론』과 『법률론』에 나타난 계급분화와 철인교육. 교육연구(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5
불교신문, 「생활 속 불교용어-평등」, 2002.02.15,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35
이정은. (2012). 서양 정치철학의 형성과 배리 -H. Arendt의 서양철학의 "전통"과 "정치철학" 형성에 기초하여-. 시대와 철학, 23(1)
노화준. (1994). 세계화시대의 정부의 정책기능과 구조. 행정논총, 32(2), 2050-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