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적타당성의 1) 정의, 2) 특성, 3) 외생변수의 통제방법에 대해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10.23
- 최종 저작일
- 2020.07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A+받았습니다. 직접 책보고 열심히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그대로 쓰셔도 되자만, 마지막 결론 부분에 구매자분의 개인적인 견해나 의견을 첨가하면 과제 점수는 100점 받으실 수 있을겁니다.
외적타당성의 1) 정의, 2) 특성, 3) 외생변수의 통제방법에 대해 기술하시오.
목차
1. 외적타당성 (external validity)
1) 정의
2) 특성
2. 외생변수 (extraneous variable)
1) 외생변수의 종류 : 내적 타당성의 저해 요인들
2) 외생변수의 통제방법
3. 인과관계
1) 인과관계의 성립조건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외적 타당성(external validity)
1) 정의
외적 타당성(external validity)이란 보편성이라고 하며 다른 환경에서 조사 시행 시에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이다.
2) 특성
외적 타당성은 현실적인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해야한다. 이에 현장실험이 높은 외적 타당성을 보인다. 따라서 실험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외적 타당성이 높아야 한다.
외적 타당성은 반응 왜곡, 사전조사-실험조작 상호작용 왜곡, 비대표 표본 왜곡 등에 의해 위협을 받는다.
반응 왜곡: 실험에 참가하는 실험자의 비정상적인 행동에 의해 일어나는 왜곡 현상이다.
사전조사-실험조작 상호작용 왜곡: 반응 왜곡의 특이한 사례인데 사전 측정이 피험자의 민감성에 영향을 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비대표 표본 왜곡: 일반화하기 위해서 참여시킨 피험자가 피험자 전체의 대표성을 갖지 못하게 되면 발생한다.
참고 자료
전수환, 「전수환 경영학 기본이론」, 밀더북, 2018
김성영, 라선아, 「마케팅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문화원, 2017
이정일, 「경영지도사 블랙가이드 마케팅조사론」, 키멜팩토리, 2017
장택원, 「세상에서 가장 쉬운 사회조사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