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건설재료실험 포아송비
- 최초 등록일
- 2020.10.22
- 최종 저작일
- 2019.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A+)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건설재료실험 포아송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4. 실험기구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제목 : 탄성계수 및 포아송비 시험
2. 실험목적
- 콘크리트의 탄성적 성질 중에서 제일 중요한 탄성계수를 구하기 위함이다.
-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시편의 변형률과 응력을 구하고 그로부터 재료의 탄성 계수 E값을 구한다.
- 포아송비는 터널, 댐과 같은 부정정구조물의 해석에 필요하다.
3. 실험이론
- 정탄성 계수
1)정탄성 계수: 암석의 변형 거동을 지배하는 주요 요인으로서, 암석에 정적인 하중을 가한 후 얻어진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이다. 영률(Young’s modulus), 포아송비(Poisson’s ratio), 강성률 (modulus of rigidity), 체적계수(bulkmodulus) 등이 있다.
정탄성 계수는 탄성재료의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후크의 법칙에 따라 선형탄성재료의 경우에는 응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나타낸다.
<중 략>
7. 고찰
이번 실험은 공시체를 이용해 정탄성계수와 포아송비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정탄성계수는 암석의 변형거동을 지배하는 주요요인이고, 포아송비는 압축 또는 인장응력에 의해 생긴 방사방향의 변형 비이다.
참고 자료
건설재료실험, 원장출판사(1999), 이용희, 제3장. 콘크리트(p.374~380)
‘콘크리트 원주 공시체의 정탄성계수 및 포아송비 시험’ 강의노트
한국표준정보망 디지털라이브러리사이트,KSF2438(콘크리트 원주 공시체의 정탄성계수 및 포아송비 시험)
네이버 백과사전<정탄성계수>,<포아송비>,<초기접선 탄성계수>, <할선 탄성계수>, <접선 탄성계수>,<영률>,<강성률>,<체적계수>
토목용어사전, 탐구원, 토목관련 용어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