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심리학의 역사 총정리 (고대- 현대까지)
- 최초 등록일
- 2020.10.05
- 최종 저작일
- 2020.08
- 25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200원

판매자RUA****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소개글
"이상심리학의 역사 총정리 (고대- 현대까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대의 귀신론
2. 그리스 시대의 신체적 원인론
3. 중세의 귀신론
4. 근대의 인도주의적 치료
5. 현대 이상심리학의 발전
본문내용
1_ 고대의 귀신론
1. 고대의 원시사회에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정신장애를 초자연적 현상(엑소시즘)으로 이해하였다.
1) 고대인들은 정신장애를 귀신에 씌었거나 신의 저주를 받은 것
2) 별자리나 월식의 영향 때문에 정신장애가 생긴다고 주장
3) 다른 사람의 저주를 받아서 정신장애가 생긴다고 생각했다.
4) 동양의 무속적 입장에서는 죽은 사람의 영혼에 사로잡혀서 정신 이상이 된다고 보기도 하였다.
2. 이러한 견해는 동서를 막론하고 고대의 문헌에서 흔히 나타나고 있다. (치료 방법)
2_ 그리스 시대의 신체적 원인론
1. 정신장애를 종교나 미신과 분리시켜 의학적 문제로 보려 시도
2. 히포크라테스 Hippocrates(B.C. 460~377)
1) 정신장애를 세 가지 유형, 즉 조증, 우울증 그리고 광증으로 분류
2) 우리는 네 가지 체액, 즉 점액, 혈액, 황담즙, 흑담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체액들의 균형이 깨지면 정신장애가 나타난다.
3) 이러한 설명방식은 매우 단순한 것이지만 오늘날 주장되고 있는 정신장애에 대한 신체적 원인론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