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주거건축 사례 / 윤두서 고택과 건재고택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20.10.03
- 최종 저작일
- 2020.03
- 76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소개글
"한국 전통 주거건축 사례 / 윤두서 고택과 건재고택을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 전통 가옥의 특성
2. 전통주거의 지역별 특성
3. 해남 윤두서 고택
4. 아산 건재고택
본문내용
한옥이란
- 한국 고유의 전통적 건축방식으로 지은 살림집
- 구조는 목재로 만들며, 못을 전혀 쓰지 않고 목재를 깎고 다듬어서 구조를 조립
- 골조를 세우는 목재로는 소나무가 주로 쓰였으며 벽체는 흙과 돌과 석회 등 천연재료가 쓰임
전통주거의 지역별 특성
서울중부형
- 기본형은 ㄱ, ㄴ 자형이며 규모가 커짐에 따라 ㄷ자형 또는 ㅁ자형으로 구성됨
- 대청이 있는 것이 특징
- 부엌과 안방의 향을 통해 남향하는 주거는 중부형으로, 동향하는 주거는 서울형으로 구분
<중 략>
건축 현황 : 안채
- 안채는 중앙 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 익랑이 붙어 좌측은 부엌-안방-웃방-찬방(마루방, 도장방)으로 구성되고 우측은 부엌-건너방-부엌-모방 순서로 구성
- 안채 가구는 1고주 4량과 2고주 5량이 조합된 반박공집 가구구조
- 안방은 확장성 없이 1칸으로 구성했음
- 대부분의 안방이 2칸으로 중간에 4짝 맹장지문을 달아 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한 것과는 달리 웃방 벽을 세우고 가운데 2짝 여닫이문을 둔 특이함이 있음
참고 자료
전봉희, 해남윤씨가의 주택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12권 제11호, 1996.11
이희봉, 상류 전통주거 해남녹우당의 해석, 건축역사연구 제 11권 제1호, 2002
김석희, 건재고택 가랍집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18
박용범, 외암리 건재고택(영양택) 공간배치변화에 관한 연구, 2009
문화재청, 韓國의 전통가옥,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