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보건복지 행정
- 최초 등록일
- 2020.09.30
- 최종 저작일
- 2020.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25. 보건복지 행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복지행정
2. 세계화 시대와 사회복지 전문화
(1) 다문화 사회복지의 역량 강화
(2) 국제 사회복지의 역량 강화
(3) 통일 후의 사회복지적 과제
(4) 한국적 사회복지의 토착화
본문내용
1. 보건복지행정
복지행정 부문에서 주목되는 정책 영역은 혁신, 읍, 면, 동 복지인력 확충 등의 새정부역점사업과 함께 그간 지속적으로 개선 혹은 발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오던 지역복지 네트워크 영역, 지역 간 균형 발전을 포함한다.
첫째, 정부는 읍, 면, 동 복지허브화의 확대 정책인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혁신 읍, 면, 동’ 정책으로 확대 발전시킬 계획이다. 무엇보다 읍, 면, 동 주민센터의 복지업무로는 내방 상담과 찾아가는 상담을 통해 발굴된 대상자에 대해 초기 상담을 충실히 하고 서비스 연계엽무를 중심으로 전문성을 담보한 맞춤형 복지업무를 수행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읍, 면, 동 주민센터를 ‘복지 만능 기관’으로 기대하기보다는 핵심업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복지급여의 안정적 연계에 방침을 두고 맞춤형 복지업무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복지공무원의 업무 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온라인 및 모바일 기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학 개론> 강영숙, 장현숙, 이지복, 정영교, 김성숙 공저, 정민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