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현대문학사 요약
- 최초 등록일
- 2020.09.29
- 최종 저작일
- 2015.02
- 3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청소년을 위한 현대문학사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현대문학의 개념
1. 한국 현대 문학의 의미(초점의 차이)
2. 한국 현대 문학의 시작(기점론)
3. 문학의 개념 형성
Ⅱ. 근대 이행기의 문학
1. 이행기 시
2. 이행기 소설
Ⅲ. 1920년대 동인지 문학
1. 현대 소설: 문학의 자율성 인정(문학 자체 중시) → 문단 生
2. 현대 시
3. 현대 희곡 *192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
Ⅳ. 1920~30년대 카프문학
1. 문학을 통한 사회주의 전파
2. 카프 소설
3. 카프 시 cf. 김기진: 초기시로서의 관념성 ↑(뼈다귀 시)
4. 카프 희곡
5. 카프 비평
Ⅴ. 1930~40년대 문학
1. 리얼리즘 문학
2. 모더니즘 문학
3. 전향 문학
4. 순수 문학
5. 희곡
Ⅵ. 1940~60년대 문학
1. 1940년대 소설과 시
2. 1950~60년대 소설
3. 1950~60년대 시
4. 희곡
5. 비평
Ⅶ. 1970~80년대 문학
1. 1970~80년대 소설
2. 1970~80년대 시
3. 희곡
4. 비평
VIII. 1990년대 이후의 문학
1. 1990년대 문학 cf.1980년대 문학: 체계화된 이데올로기의 문학(민중/민족/노동)
2. 인터넷 문학
본문내용
현대문학의 개념
1. 한국 현대 문학의 의미(초점의 차이)
⑴ 한국의 현대 문학
① 세계적 공통성(현대인) 가진 현대 문학의 특성
㉠ 개인 중심의 문학: ‘나’를 인식 → ‘나는 누구인가’의 답 찾기(자기정체성), 개성중시
㉡ 자본주의의 관계
㉢ 인간의 상품화
㉣ 문학의 자율성 cf.재도지기로서의 문학
㉤ 문자텍스트 중심(∵인쇄술의 발전)
② ‘한국’이라는 지역의 특수성
⑵ 현대의 한국 문학
① 한국의 역사: 고대→ 삼국시대→ 고려시대→조선시대→현대
② 한국 문학의 보편성
㉠ '한국‘의 규정
㉮ 한국어: 한문학의 문제
㉯ 한민족: 단일민족의 애매함(교포, 다문화 가정)
㉰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 국민이 자신의 전통으로, 혹은 자신의 역사로 생각하는 국가의 한국
㉡ 내용(한, 해학과 웃음, 정) 과 형식의 고유한 특성 ○
<중 략>
1920년대 동인지 문학
※개관: 동인지 시대, 창작의 문을 열다
- 식민지 체제에 대한 불만과 부정 내재 → 3.1 운동(폭발) → 식민지 통치 방식(문화정책)
- 문학 양상(동인지 시대) 변화
- 대표적 동인지: 김동인 《창조》, 염상섭《폐허》, 현진건․ 나도향 《백조》→ 독자(계몽) <작가의 창작 욕구
1. 현대 소설: 문학의 자율성 인정(문학 자체 중시) → 문단 生
⑴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의 김동인
① 인형조종술(神), 서술태도와 시점, 간결․ 현대적 문체
② 작품
㉠ <배따라기(1921)>: 운명에 관한 이야기, 액자식 구성(겉이야기와 배따라기의 구슬픈 소리와 어울림)
㉡ <감자(1952)> : 있는 그대로를 그린 날카로운 자연주의 수법
⑵ 《백조》의 나도향과 현진건: 자기 문제(문학인)에서 자기 외부 세계로
1) 현진건
① 사실주의 개척(≒염상섭), 한국 근대 단편소설의 선구자(≒김동인)
② 1920년대 전반기 식민지 조선 사회의 일면을 그림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