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 모자보건사업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20.09.18
- 최종 저작일
- 2019.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 모자보건사업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모자보건사업
2)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혼연령이 증가하고 첫째아를 낳는 평균 출산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출생률이 감소하고 있다. 출산율이 감소하여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은 OECD 주요국의 합계 출산율보다 현저히 낮은 비율 차지(OECD 평균 1.68명, 우리나라 1.17명)하고 있다.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인구증가율도 2015년 –0.60, 16년에 –0.79, 17년에 –2.33으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며, 또한, 모자보건사업의 영유아 등록관리 통계를 보면 2015년 2,989명, 16년 2,229명, 17년 1,790명으로 감소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출산계획에 대한 수치를 보면 ‘없다’가 ‘있다’라는 수치보다 월등히 낮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유로는 교육비 부담, 양육 스트레스, 육아 부담, 나이 등으로 나타났다. 또, 출산율 증가를 위한 출산 지원정책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통계를 보면 ‘필요하다’라는 수치가 ‘필요 없다’라는 수치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필요한 지원정책에는 자녀양육비⋅교육비 지원, 자녀출산비 지원 확대, 보육시설확충, 출산 분위기 장려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아이를 낳을 의향이 30대로 접어들면서 비율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달서구 보건소의 모자보건사업을 반영한 간호과정 적용을 통해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달서구청.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기본통계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2, 수문사
대구통계. 대구사회조사, 2017
2016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결혼⋅임신⋅출산⋅육아 사례집, 보건복지부. 아이사랑
2017년 대구의 사회지표, 대구광역시
통계청
아이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