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진로설계
- 최초 등록일
- 2020.09.17
- 최종 저작일
- 2020.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직업진로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음 진로상담이론들에 대해 각각 설명하시오.(3~4)
1) 수퍼이론
2) 사회학습 진로이론
3) 구성주의 진로이론
2. 수퍼이론을 참고하여(교재79쪽). 10~20줄
1) 자신이 현재 하고 있는 역할을 적어보세요
2) 그 중 가장 중요한 역할과 이유를 적어보세요
3) 앞으로 예상되는 역할 변화를 적어보세요
3. 진학,직업전환, 퇴직 중 하나의 주제를 정해서 진로교육의 필요성 및 내용, 방법을 설명하시오.(2~3장)
1) 직업전환
(1) 진로교육의 필요성
(2) 내용
(3)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다음 진로상담이론들에 대해 각각 설명하시오.(3~4)
1) 수퍼이론
도날드 수퍼의 이론은 진로이론에서는 가장 주목받는 이론으로, 진로라는 것을 생애의 어느 시점으로 끊어서 본 게 아니라 평생에 걸쳐 발달하는 과정으로 인식하였다. 수퍼는 3가지 개념을 통해 진로이론을 주장하였다. 자기개념, 생애기간, 생애공간이 그의 이론의 주된 개념들이다.
먼저, 자기개념을 설명해보면 이것은 타인과 구별되는 자신이 살아온 삶의 특성이라고 할 것이다. 그는 아치문 모형을 통해 삶 속에서 경험하는 자기개념 들이 어떻게 발달하는 지를 보여주었다.
두 번째, 생애기간은 발달단계라는 이름으로 5단계로 구분하였다.
① 성장기(Growth Period)
성장기는 만 13세로 보는데 이 시기에는 자기개념과 욕구 등을 통해 세상에 어떤 직업이 있는 지를 인지하고, 준비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② 탐색기(Exploration Period)
탐색기는 만 24세까지 해당하는데, 이 시기까지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적성에 따라 직업을 탐색하고 첫 직업을 갖는 것으로 일단락되는 시기이다.
③ 확립기(Establishment Period)
확립기는 만44세까지로 보는데 본격적으로 직업의 세계에 입문하고, 기술을 연마하고, 안정적으로 기반을 잡는 데 주력하게 된다.
④ 유지기(Maintenance Period)
유지기는 만 65세까지로 보는데 그렇게 기반을 잡은 직업의 연장선상에서 자리를 공고히 하고, 지속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는 시기로써 은퇴를 준비하는 이면에 그로 인한 압박까지도 감수해야 하는 시기이다.
⑤ 쇠퇴기(Decline Period)
쇠퇴기는 안간힘을 썼던 유지기를 지나고 찾아오는 마지막 단계로써, 이 시기가 되면 급격한 생산성 저하로 직업의 세계에서 밀려나게 된다. 다시말해 직업이 경제생활을 넘어 자아실현의 수단이었던 자리에서 은퇴를 고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영빈,선혜연,황매향(2016), <직업ㆍ진로설계>, 방송대 출판문화원
리상섭,김인숙,박제일,최손환,김창환(2017), <최신 직업진로설계>, 양서원
고봉익,홍기운,임정빈(2013), <이것이 진로다>, 미디어숲
이형국,권오관,최윤경(2015), <역량기반 진로설계>, 한올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