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음악] 전통음악의 미래
- 최초 등록일
- 2003.11.17
- 최종 저작일
- 2003.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열심히 썼습니다. 참고많이 하세요~
목차
서론 - 전통음악의 미래 연구의 의의
(1) 전통음악 미래 연구의 의의
(2) 전통음악이 처한 현실과 문제점
본론 - 전통음악의 미래 밝히기
1. 창작과 보존
2. 전통음악과 다른 장르의 혼합 - 크로스 오버 음악과 그에 대한 비판
(1) 크로스 오버의 정의
(2) 전통음악의 크로스 오버
(3) ‘만남’ - 크로스 오버에 대한 비판
3. 전통음악의 대중화
(1) 옛 것을 지켜 나가는 것으로써의 대중화
(2) 전통음악의 대중화 노력
(3) 전통음악 대중화의 어려움
(4) 교육과 방송을 통한 전통음악의 대중화
4. 전통음악의 바람직한 계승과 발전 방향
(1) 우리 고유의 얼을 지키는 정신 - 계승과 창조
(2) 전문 전통음악인의 양성
(3) 우리 음악에 대한 자부심
결론 - 21세기에 다시 서는 전통 음악
본문내용
무엇보다 궁극적으로 전통음악의 미래를 지켜나가는 것은 우리 고유의 전통을 지키려는 우리들의 인식 변환이다. 정신문화의식을 재건해야 하는 것이다. ‘통’이라는 것은 우리 고유의 정신을 지금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음악에서건, 다른 영역에서건 우리의 정체성을 지켜나가는 것은 바로 우리가 한국민족임을 지켜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가오는 세계화 시대, 모든 것이 변화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시대이다. 가치관의 혼란과, 생활양식의 급격한 변화는 모든 민족에게 자기 민족성의 위기를 가져다주게 될 것이다. 우리는 한민족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작년 6월의 붉은 함성에서도 우리는 우리의 민족성을 다시 확인했다. 우리 고유의 전통을 그대로 고집하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속에서 우리 것의 소중함을 찾고 최소한 우리의 정신을 잊어버리지 않도록 계속 가꾸고 아껴나가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