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계 카디오 cardio 동결절기능부전증후군 Sick Sinus Syndrome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과 실습 컨퍼런스
- 최초 등록일
- 2020.09.16
- 최종 저작일
- 2010.1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서울 내 유명상위대학 간호학과에서 제출했던 동결절기능부전증후군 Sick Sinus Syndrome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간호진단 2개(통증, 불안)잡아놓고 상세히 기술하였습니다. 투약 부문도 상세히 기술해놨어요. 참고하셔서 케이스 쓰시고 좋은 점수 받아가세요!
목차
1. 간호력
2. 질병에 대한 기술
3. 대상자의 간호과정
4. 투약
5. 특수치료
6.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 병인론(Pathophysiology) - Sick Sinus Syndrome
동결절기능부전증후군이라고도 한다. 동방결절의 자동능력이나 동방전도의 장애로 나타난다. 맥박이 느려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일시적으로는 맥박이 없어져서 의식이 없어지기도 한다. 이 증후군은 종류가 다양하여 심한 동서맥, 동방차단, 동정지, 빈맥서맥증후군 등으로 나타난다. 심박동이 느려지므로 전신쇠약감, 운동할 때 호흡곤란, 현기증, 실신, 심계항진 등이 주요 증세로 나타난다. 평소에는 증세가 없다가 디기탈리스제제, 베타차단제, 항부정맥제 등을 투여하면 맥박수가 더욱 느려지게 되어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 증후군 환자 중에서 심방세동이 발생하면 이로 인한 뇌색전증 등의 합병증이 나타난다. 주로 특별한 원인 질환이 없는 고령층에게 많이 발생한다.
증세가 없으면 치료가 필요없다. 현기증, 실신, 운동할 때 호흡곤란, 심부전 등과 같은 서맥 증세가 나타나면 심박동기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그러나 예후는 이 증후군보다는 원인이 되는 심장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서맥에 대한 응급조치로 약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약물치료는 효과가 없다. 빈맥증은 항부정맥제로 치료한다.
2) 임상증상(Clinical Manifestation)
증상을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실신, 어지러움, 반복적 혼동감, 심계항진, 협심증, 가슴통증, 호흡곤란, 피곤, 근육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치료(Treatment)와 간호(Nursing Care)
증상이 없을 경우 치료가 필요치 않으나 증상이 있을 경우 고혈압 치료제나 심장약으로 쓰이는 β-blocker나 칼슘통로차단제가 처방된다.
지속적인 동기능부전증후군이 있을 경우 인공심박조율기를 영구적으로 가슴에 이식하게 되는데 밧데리로 작동되는 전자기구로 쇄골 밑에 이식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여섯째판, 수문사(2009), 이항련 외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간호계획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1999), 이은옥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