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대궤범, 부인, 소문, 난경, 금궤, 병원, 부인방, 계복령원, 당귀작약산, 건강인삼반하환.hwp
*성*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난대궤범, 부인, 소문, 난경, 금궤, 병원, 부인방, 계복령원, 당귀작약산, 건강인삼반하환 규자복령산, 당귀패모고삼환, 당귀산, 백출산, 지실작약산, 하어혈탕, 죽엽탕, 죽피대환, 백두옹가감초아교탕, 반하후박탕, 감맥대조탕, 온경탕, 토과근산, 선복화탕, 대황감수탕, 반석환, 홍람화주, 사상자산, 낭아탕, 삼물황금탕, 당귀건중탕, 불수산, 회생단, 개골산, 탈명사, 하사태방, 교가산, 호태방, 해합산, 소시호가지황탕, 오계전원, 저제탕, 자석영환, 최생단, 소조경산, 이미자소환, 자소음, 자산, 진계환, 구사방, 황룡탕, 계지탕, 소시황, 대승기탕, 소청룡탕, 궁귀교애탕, 저발고전, 신기환, 당귀생강양육탕.hwp 한문 및 한글번역 28페이지 원문목차
1. 婦人 부인1) 《素問》 소문
2) 《難經》 난경
3) 《金匱》 금궤
4) 《病源》 제병원후론
2. 婦人方 부인 처방
1) 桂枝茯苓圓 《金匱》 계지복령원 금궤요략
2) 當歸芍藥散 《金匱》 당귀작약산 금궤요략
3) 乾薑人參半夏丸 《金匱》 건강인삼반하환 금궤요략
4) 葵子茯苓散 《金匱》 계자복령산 금궤요략
5) 當歸貝母苦參丸 《金匱》 당귀패모고삼환 금궤요략
6) 當歸散 《金匱》 당귀산 금궤요략
7) 白朮散 《金匱》 백출산 금궤
8) 枳實芍藥散 《金匱》 지실작약산 금궤요략
9) 下瘀血湯 《金匱》 하어혈탕 금궤요략
10) 竹葉湯 《金匱》 죽엽탕 금궤
11) 竹皮大丸 《金匱》 죽피대환 금궤
12) 白頭翁加甘草阿膠湯 《金匱》 백두옹가감초아교탕 금궤
13) 半夏厚朴湯 《金匱》 반하후박탕 금궤
14) 甘麥大棗湯 《金匱》 감맥대조탕 금궤
15) 溫經湯 《金匱》 온경탕 금궤
16) 土瓜根散 《金匱》 토과근산 금궤
17) 旋覆花湯 《金匱》 선복화탕 금궤
18) 大黃甘遂湯 《金匱》 대황감수탕 금궤
19) 礬石丸 《金匱》 반석환 금궤
20) 紅藍花酒 《金匱》 홍람화주 금궤
21) 蛇床子散 《金匱》 사상자산 금궤
22) 狼牙湯 《金匱》 낭아탕 금궤
23) 三物黃芩湯 《千金》 삼물황금탕 천금방
24) 當歸建中湯 《千金》 당귀건중탕 천금방
25) 佛手散 《本事方》 불수산 본사방
26) 回生丹 회생단
27) 開骨散 개골산
28) 奪命散 탈명산
29) 下死胎方 《本事方》죽은 태아를 내리는 처방 본사방
30) 交加散 《本事方》 교가산 본사방
31) 護胎方 《本事方》 호태방 본사방
32) 海蛤散 《本事方》 해합산 본사방
33) 小柴胡加地黃湯 《本事方》 소시호가지황탕 본사방
34) 烏雞煎丸 《局方》 오계전환 화제국방
35) 猪蹄湯 《局方》 저체탕 화제국방
36) 紫石英丸 《局方》 자석영환 화제국방
37) 催生丹 《局方》 최생단 화제국방
38) 小調經散 《局方》 소조경산 화제국방
39) 二味參蘇飲 이미삼소음
40) 紫蘇飲 嚴氏 자소음 엄씨
41) 紫散 《元和紀用經》 자산 원화기용경
42) 秦桂丸 《襍抄方》 진계환 잡초방
43) 求嗣方 《雜抄方》 구사방 잡초방
44) 黃龍湯 《活人書》 황룡탕 활인서
45) 桂枝湯 《金匱》 계지탕 금궤요략
46) 小柴胡湯 《金匱》 소시호탕 금궤
47) 大承氣湯 《金匱》 대승기탕 금궤
48) 小青龍湯 《金匱》 소청룡탕 금궤
49) 芎歸膠艾湯 《金匱》 궁귀교애탕 금궤
50) 猪髮膏煎 《金匱》 저발고전 금궤
51) 腎氣丸 《金匱》 신기환 금궤요략
52) 當歸生薑羊肉湯 《金匱》 당귀생강양육탕 금궤요략
본문내용
부인이 침을 토하는데 의사가 반대로 사하하여 심하가 답답하면 먼저 침 토함을 치료하니 이로 주치한다. (담음에서 나타난다.)涎沫止, 乃治痞, 瀉心湯主之。(見血門。)
침이 중지되면 속 답답함을 치료하니 사심탕으로 주치한다. 혈문에서 나타난다.
芎歸膠艾湯 《金匱》
궁귀교애탕 금궤
治陷經漏下黑不解。(見通治。)
*陷经 : 자궁 출혈. (=血崩
궁귀교애탕은 검은피 붕루가 풀리지 않음을 치료한다. (통치에서 나타난다.)
猪髮膏煎 《金匱》
저발고전 금궤
胃氣下泄, 陰吹而正暄, 此穀氣之實也。(見疸門。)
위기가 아래로 설하하며 질에서 공기 나오는 음취로 바로 따뜻하니 이는 곡기가 실해서이다. (황달문에 나타난다.)
*陰吹:膣腔[陰中]에서 수시로 방귀처럼 공기가 나오는 것. 곡기(穀氣)가 실(實)하여 위기(胃氣)가 아래로 빠져 나오거나 기혈(氣血)이 허하고 중기(中氣)가 밑으로 빠져 발생한다.
暄(따뜻할 훤; ⽇-총13획; xuān)
腎氣丸 《金匱》
신기환 금궤요략
治婦人飲食如故, 煩熱不得臥, 而反倚息者, 此名轉胞, 不得溺也。
신기환은 부인의 음식은 그대로 먹지만 번열로 잠들지 못하고 반대로 기대 숨쉬니 이를 전포라고 하며 소변을 못 봄이다.
以胞系了戾, 故致此病, 但利小便, 則愈。
胞系了戾:임신 말기 요도가 눌려서 소변을 제대로 누지 못하는 것;胞系는 溺의 系를 말하고;了戾(어그러질 려{여}; ⼾-총8획; lì)은 屈曲이 繞亂(요란 ; 얽혀 어지럽다)하다는 意이며 或은 絞紐으로 解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 질병이 생기니 단지 소변을 잘 보게 하면 낫는다.
(卽崔氏八味丸。見通治。)
최씨팔미환으로 통치방에서 나타난다.
當歸生薑羊肉湯 《金匱》
당귀생강양육탕 금궤요략
治產後腹中㽱痛, 並治腹中寒疝, 虛勞不足。(見通治。)
㽱(복통 교{혹 구}; ⽧-총7획; *)痛:部)의 급성 통증, 심한 복통
당귀생강양육탕은 산후 복부가 켕기듯 아픔을 치료하며 배속에 한산, 허로로 부족함을 치료한다. (통치방에서 나타난다.)
참고 자료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53, 대성문화사, 난대궤범, 서영태(徐大椿) , 페이지 529-537www.imagediet.co.kr
www.upaper.net/homeosta
www.steemit.com/@imagediet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