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사학자 이기백에 관하여 -민족과 학문의 사학자 이기백
떡먹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현대사학자 이기백 선생의 생애와 업적, 역사관을 다룬 보고서목차
1. 머리말2. 주 활동시기의 사학계 상황
3. 생애와 연구목적 및 역사관
1) 역사연구에 미친 영향
2) 식민사관의 타파와 민족 중심의 시대구분론
3) 한국사의 대중화
4. 맺음말
본문내용
문자가 쓰이기 이전인 선사시대부터, 고대, 중세,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는 그들만의 ‘역사’를 쌓아왔다. 현대인들이 아주 먼 과거의 일을 알 수 있게 된 건 그 역사를 탐구해온 역사학자들이 존재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다만 역사를 아주 객관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과거를 탐색할 때 쓰이는 단서인 ‘사료’를 근거로 하지만, 역사가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재구성되기 때문이다. 역사는 역사가의 생각에 중요한 사료를 선별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기록된다. 그러면서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은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한 양상을 띠며 발전했고, 이를 학문적으로 연구한 사학사 또한 역사학자들에겐 중요한 학문으로 여겨지고 있다.한국 사학사 또한 시대가 변화하면서 점차 발전해왔다. 삼국시대부터 역사서 집필과 관련된 기록은 번번이 내려오고 있으나, 현재 전해지지는 않고 있다. 후에 고려시대에 중국의 기전체 형식을 모방하여 유교적 체재를 갖춘 <삼국사기>가 김부식에 의해 집필되었고, 이 책은 한국 최초의 역사서로 인정받는다.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며 역사 서술 방법이나 체계 또한 다양하게 변화하였고,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역사학자들을 통해 사학사는 발달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그중 역사학자 이기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역사학자 이기백은 그의 저서인 『한국사신론』으로 잘 알려져있다. 『한국사신론』은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 이후 한국사 연구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한국사 개설서로 평가받고 있다. 하와이대학교 아시아태평양학부 교수인 에드워드 슐츠는 『한국사신론』에 대해 “한국의 과거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라고 평가했다. 그뿐만 아니라 이기백은 『한국사시민강좌』라는 역사잡지의 집필을 주도하여 한국사의 대중화에 이바지하기도 하였다.
그는 대표 저서인 『한국사신론』, 『국사신론』을 포함하여 15권이 넘는 책을 집필하며 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 자료
이기백, 『국사신론』, 태성사, 1961. ; 재판, 제일문화사, 1963.이기백선생 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 기념사업회, 『이기백선생 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하), 일조각, 1994.
이만열, 『한국근현대역사학의 흐름』, 푸른 역사, 2007.
김수태, 「이기백의 한국사 시대구분론」, 『한국사학사학보』 31, 한국사학사학회, 2015.
김수태, 「이기백의 한국사상사연구와 왕권」, 『한국고대사탐구』 27,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김언호, <우리시대베스트셀러의 사회사 7 –이기백의 『한국사신론』>, 《출판저널》, 1988.
김태욱 외, 「『한국사신론』의 저자 이기백 선생이 말하는 한국사의 대세와 정통」 ; 『민족과 진리를 찾아서』, 한림대학교 출판부, 2001.
노용필, 「이기백 국사신론, 한국사신론의 체재와 저술 목표」(하), 『한국사학사학보』 20, 한국사학사학회, 2009.
노용필, 「이기백의 한국사시민강좌 간행과 민족의 이상 실현 지향」, 『한국사학사학보』 29, 한국사학사학회, 2014.
다케다 유키오, 「한 일본인 역사학도가 본 이기백 선생」, 『한국사시민강좌』 50, 일조각, 2012.
류기현, 「해방 이후~1970년대 초반 한국사 개설서의 '근대' 규정 및 시대구분의 변화」, 『인문논총』 제75편 제1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서중석, 「민족주의사학의 논쟁」, 『진단학보』 80, 진단학회, 1995.
심희찬, 「이기백의 일본유학과 역사주의수용 : 사회사의 관점에서」, 『아세아연구』 62(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안정준, 「해방 이후 민족주의적 관점의 한국고대사 연구 사례와 문제점」, 『학림』 제 42집, 연세사학연구회, 2018.
야나이하라 다다오, 이기백 옮김, 『한극사 시민강좌』 제17집·특집-해방 직후 신국가 구상들,일조각, 1995.
이기백, 「나의 책 ‘韓國史新論’을 말한다」, 『오늘의 책』 창간호,1984 : 『연사수록』 , 일조각, 1994.
이기백선생 1주기 좌담회, 「진리의 파수꾼, 이기백 선생」, 『한국사시민강좌』 37, 일조각, 2005.
에드워드 슐츠, 홍승기 옮김, 「이기백선생-나의스승, 우리 모두의 교사」, 『한국사시민강좌』 50, 일조각, 2012.
정혜옥, <고희맞은 원로사학자 이기백교수>, 《출판저널》, 1994.
정소연, <끊임없이 거듭나는 한국사의 고전-「한국사신론」신수판 펴낸 이기백 교수>, 《출판저널》, 1990.
조원경, 「'민족'과 '진리'를 추구한 이기백의 역사관」,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