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안정형 협심증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20.09.10
- 최종 저작일
- 2019.05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안정형협심증 케이스입니다.
문헌고찰 책 참고하여 꼼꼼히 작성하였고, 간호진단은 6개 작성하였고,
간호중재는 3개 작성하였습니다. (관상동맥 조직관류와 관련된 급성 통증, CAG&PTCA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안위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A+ 받은 자료여서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 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7. 간호(교과서에서 질환과 관련된 간호진단과 간호진단에 따른 수행을 찾아 작성)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1. 질병의 정의
- 가역적인 심근세포 손상에 의한 심근허혈의 결과.
- 갑작스런 흉통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증후군,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
- 갑작스럽게 흉골 하부를 조이는 듯 한 감각이 단시간 계속되는 상태.
- 안정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질환의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 볼 수 있음.
- 신체적 노력이나 정서변화에 의해서 흉통 발생, 노작형 협심증이라고도 함.
- 발병 형태나 지속시간, 부위, 흉통의 강도 등이 비교적 안정된 형태.
2. 원인 및 위험소인
① 원인
- 관상동맥의 가장 안쪽 층은 내피세포로 둘러싸여 있는데, 내피세포가 손상되고 기능이 떨어지면 관상동맥 안으로 흘러가던 혈액 속에 포함된 혈소판 및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서 만성적으로 동맥경화증이 진행, 이에 더하여 동맥경화반이 파열되면 급성으로 혈전증이 잘 생기게 됨.
-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상태가 오며 이때 심한 흉통이 일어남
-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와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이 흉통 유발의 원인.
② 위험소인
환자의 약 70%가 남성이고, 일반적으로 남성의 경우 50-60세, 여성의 경우에 폐경 후 주로 약 65-75세에 병원을 찾게 됨.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자에서 호발
3. 병태생리
■ 심근의 산소 공급 저하
- 관상동맥의 협착과 폐색, 저혈압, 빈혈 및 저산소증 등에 의한 심근의 산소 요구에 공급이 부족할 때
■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
- 운동, 흥분, 과음, 과식 등의 생리적 요인과 갑상샘 기능 항진증과 같은 병리적 요인에 의한 심장의 과부담
4. 증상 및 징후
- 환자의 대부분은 갑작스런 흉통과 가슴이 답답함을 호소
- 얼굴이 창백하고, 식은 땀, 심계항진, 불안감, 피로를 느끼고 심하면 실신
- 흉통 없이 숨이 차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음
■ 협심통의 양상
- 예고 없이 나타나는 발작성 흉통
참고 자료
김근순 외(2017). 성인간호학Ⅰ. 파주 : 수문사. p.751~763
성미혜 외(2018).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파주 : 수문사. p.249~ 부록9
이은주,최윤하. 기본간호자율실습 가이드(학생용)(2018). 세종 : 다온출판사. p13~22
양선희 외(2018). 기본간호학(3판). 서울 : 현문사. P74~111, 222, 324~325, 350~365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 http://www.samsunghospital.com
약학정보원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