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캠퍼스북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간호연구계획서)무작위대조군 실험연구-Hatha 요가 운동 프로그램이 위장암 생존자의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인지기능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간호대학원생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9.10
최종 저작일
2020.06
12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Hatha 요가 운동 프로그램이 위장암 생존자의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인지기능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Randomized clinical trial(무작위대조군 실험연구)

최신 국내외 논문을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요가 프로그램은 타 외국논문 것을 선택했습니다.
PPT 발표 자료도 업로드 예정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2. 문헌고찰
1) 국내연구
2) 국외연구

3.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실험처치
4) 연구도구
5) 연구진행절차 및 자료수집방법
6) 윤리적 고려

4. 자료분석계획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위암과 대장암은 2016년, 2017년 주요 암종 발생자수에서 각각 1위, 2위로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수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2013~2017) 암 상대생존율이 위암 76.5%, 대장암 75.0%으로 보고되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2010~2014년 상대생존율 대장암 위암 74.4%, 대장암 76.3%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또한 2010년에서 2014년 5년간 암 순 생존률을 비교해보았을 때 위암 68.9%, 대장암 71.8%로, 미국과 일본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1]. 이를 통해 위암과 대장암은 꾸준히 높은 유병률에 더불어 생존율 역시 상승된 것으로 보고되어 암생존자들이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매년 위암, 대장암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암 생존자의 삶의 질을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조되고 있다. 대부분의 위암, 대장암 환자는 수술 등의 일차치료 후 보조요법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받게 된다. 항암화학요법은 암환자의 60~75%가 사용하는 전신적인 치료법으로 수술, 방사선 치료 후 보조요법이나 전이된 암치료에 많이 사용된다[2]. 이러한 항암화학요법은 위암, 대장암 환자의 재발률을 감소시키고 생존률을 증가시켜 왔으나, 암 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손상을 주어 대상자들은 피로, 오심, 구토, 골수억제, 체중감소, 탈모, 수면장애, 성기능, 인지기능 저하 등의 신체적 문제와 더불어 불안, 우울, 성정체감 상실 등 다양한 심리변화를 경험한다[3].

참고 자료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roean in 2017[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
윤선정, 김혜영(2019).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요인. Korean J Women Health Nurs, 25(4), 409-422.
김혜영, 소향숙(2012). 초기 유방암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구조모형. 대한간호학회지, 42(1), 105-115.
Gehring K, Roukema JA, Sitskoorn MM(2012). Review of recent studies on interventions for cognitive deficits in patients with cancer. Expert Review of Anticancer Therapy. 12(2), 255-269. http://dx.doi.org/10.1586/era.11.202
오복자, 이정란(2016). 암증상과 피로가 소화기 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인지기능 감퇴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46(3), 420-420.
Hutchinson AD, Hosking JR, Kichenadasse G, Mattiske JK, Wilson C(2012). Objective and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following chemotherapy for cancer: A systematic review. Cancer Treatment Reviews. 38(7), 926-934.
이정란, 오복자(2016).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감퇴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Korean J Adult Nurs, 28(2), 202-212. http://dx.doi.org/10.7475/kjan.2016.28.2.202.
Krynetskiy E, Krynetskaia N, Rihawi D, Wieczerzak K, Ciummo V, Walker E(2013). Establishing a model for assessing DNA damage in murine brain cells as a molecular marker of chemotherapy-associated cognitive impairment. Life Sciences, 93(17), 605-610. http://dx.doi.org/10.1016/j.lfs.2013.03.013
Hyrien O, Dietrich J, Noble M(2010). Mathematical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o identify and predict the effects of chemotherapy on neuroglial precursors. Cancer Res, 70:10051-9.
Kim KH, Yae CB, Kim GD, Byun HS, Choi EH, Cho EJ(2012).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12, 1-11.
Kanaskie ML(2012).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change: A principlebased concept analysis. Oncology Nursing Forum, 39(3), E241-E248. http://dx.doi.org/10.1188/12.onf.e241-e248
K. L Campbell, J.W.Y. Kam, S.E. Neil-sztramko 외 9명 (2018).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cancer-associated cognitive impairment: A proof-of-concept RCT. Psycho-Oncology, 27, 53-60
Jung YM, Park J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3):319-331.
Jun-E Liu, Hui-Ying Wang, Mu-Lan Wang 외 2명(2014). Posttraumatic growth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Chinese early-stage breast cancer survivors: a longitudinal study, 23, 437-443.
변지용, 이미경, 정재연 외 2명(2019).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참여 경험. 종양간호연구, 19(2), 98-105.
오복자, 임수연(2017). 대장암, 위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시기에 따른 암 증상, 우울 및 삶의 질의 변화: 전향적 종단 연구. Korean J Adult Nurs, 29(3), 313-322.
Zigmond AS, Snaith RP(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a, 67(6), 361-370. https://doi.org/10.1111/j.1600-0447.1983.tb09716.x
김선희(2006). 개별화된 운동프로그램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환자의 피로와 신체인지기능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Phillip Zimmer, Freek baumann, Max Oberste 외 8명(2016).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s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r on cancer related cognitive impairments: A Systematic Review.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ume 2016.
조미영, 박지영, 이충은 외 10명(2012). 동영상 운동프로그램이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피로아 신체기능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3), 368-380.
Elizabeth A. Salerno, Kendrith Rowland, Arthur F. Kramer 외 1명(201). Acute aerobic exercise effets on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curvivor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BMC Cancer.
Heather M. Derry, Lisa M. Jaremka, Jeanette M. Bennett(2015). Yoga and self-reported cognitive problems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sycho-Oncology, 24, 958-966.
Nasreddine ZS, Phillips NA, Bédirian V, Charbonneau S, Whitehead V, Collin I, 외(2005).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a brief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J Am Geriatr Soc, ;53, 695-699.
오복자, 이정란, 김현아(2018). 유방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에 따른 인지기능과 우울: 전향적 종단 연구. 종양간호연구, 18(2), 66-74.
정복례, 조은정(2012). 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장애 관련 요인. Asian Oncology Nursing, 12(3), 221-229. http://dx.doi.org/10.5388/aon.2012.12.3.221
Oh SM, Min KJ, Park DB(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8(2), 289-296.
박진희, 배선형, 정용식 외 1명(2015). 유방암 환자에서 화학요법관련 인지기능저하의 발생률과 발생양상. J Korean Acad Nurs, 45(1), 118-28.
민신홍, 박선영, 김종임(2011). 암 극복 베하스[BehHas] 운동프로그램이 유방암 수술 후 환자의 어꺠꽌절기능, 스트레스, 신체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8(3), 328-336.
이정란, 오복자(2019). 유방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기능 변화와 삶의 질의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9(4), 375-385.
이정란, 오복자(2016).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감퇴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Korean J Adult Nurs, 28(2), 202-212.
Julie A. Larsen, Judy Knuth(2019). Effects of Aerobic Exercise Modality on cognition and Fitness in Breast Cancer Survivors, International Journal of Exercise Science, 12(3), 1023-1033.
Janice K. Kiecolt-Glaser, Jeanette M. Bennett, Rebecca Andridge 외 7명(2014). Yoga’s Impact on Inflammation, Mood, and Fatigue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2(10), 1040-1049.

자료후기(1)

간호대학원생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자기소개서, 의/약학, 교육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간호학과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전복
탑툰 이벤트
간호연구계획서)무작위대조군 실험연구-Hatha 요가 운동 프로그램이 위장암 생존자의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인지기능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