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로 정책과 발전
- 최초 등록일
- 2020.09.07
- 최종 저작일
- 2015.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일대일로 정책과 발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일대일로의 정의?
2. 취지
3. 범위
4. 추진현황
5. 추진중인 프로젝트
6. 전망
7. 내용과 정책
8. 한국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일대일로의 정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년 밝힌 중국 주도의 아시아 인프라 스트럭처 개발 사업을 뜻한다.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해상 실크로드의 끝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이다.
2013년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9월과 10월 각각 카자흐스탄과 인도네시아를 방문하면서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21세기 해상실크로드”를 발표했다. 중국에서 유럽으로 대륙의 길목인 카자흐스탄에서 내륙의 통로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제시했고, 중국 연안에서 남중국해를 거쳐 인도양과 남태평양으로 진입할 수 있는 해로의 길목인 인도네시아에서 해양의 통로 “21세기 해상실크로드”를 발표한 것이다. 실크로드 경제벨트의 벨트(帶)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의 로드(路)를 합쳐서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라고 한다. 일대일로는 2013년 11월 중국의 제18차 3중전회의 결의 내용에 포함되고, 같은 해 12월 시진핑 주석이 중국 중앙 경제공작회의 상에서 일대일로 건설을 주장하면서 중국 국가전략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현재 일대일로에 대해 다양한 분석들이 나오고 있으나, 대부분 고대 실크로드 길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의 내용 중에 ‘실크로드’라는 개념만 집중하다보면 중국이 육로와 해로를 통해 동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한다는 내용에서 그칠 수 있다. 그러나 일대일로의 진정한 의미는 공간을 토대로 한 중국의 국제 자유무역지대 확장이며, 또한 국제화된 중국의 제2 개혁개방에 있다. 일대일로는 고대 실크로드가 가지고 있는 동서양 교류 이미지를 차용해 유라시아 전역을 공간 베이스 자유무역 네트워크 형성하겠다는 내용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