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Dye-Sensitized Solar Cell) 결과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09.02
- 최종 저작일
- 2020.03
- 4페이지/
MS 워드
- 가격 900원

판매자Encore (본인인증회원)
3회 판매
소개글
A+받았습니다.
목차
Ⅰ. 실험날짜
Ⅱ. 실험조원
Ⅲ. 실험방법
Ⅳ. 실험결과
Ⅴ. 고찰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실험 날짜 : 2020.05.22 (금)
III. 실험방법
(1) 안토시아닌 추출액 제조과정
① 실험을 위한 블랙베리 적당량을 취하여 가열한다.
(2) 전해액 제조과정
① 10ml 바이알에 포화 NaCl을 제조한다.
(3) 태양전지 유리 1 제작과정
① 멀티테스터기를 사용하여 전도성유리(ITO Glass) 2개의 코팅된 면을 찾는다.
② 아세톤을 이용하여 유리를 세척한다.
(아세톤 기체를 되도록 흡입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소량으로 세척한다.)
③ 막자사발에 TiO2 6g, acetic acid 1mL, 증류수 6mL를 넣고 TiO2 의 알갱이가 잘게 부서질 때 까지 섞는다. 후드에서 진행한다.
(아세트산은 각막 손상의 우려가 있으니 고글을 착용하거나, 파라필름으로 동봉하여 공기 중에 오랫동안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참고 자료
화공생물공학실험1, 동국대학교, p. 49-53
TiO2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 및 특성(2006), 김길성 외 5인, 전북대학교 화학공학부 박막재료실 첨단방사선응용연구센터
고급태양전지 공학, 이준신, 도서출판 그린, p.82-95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dye-sensitized solar cell) 현황, 영남대학교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