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실험 A+) 애기장대와 발아 실험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0.08.12
- 최종 저작일
- 2020.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생물학 실험 A+) 애기장대와 발아 실험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1. 실험 재료
2. 실험 방법
III. 실험 결과
IV. 논의
본문내용
생물은 각자의 방식으로 생명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동물의 경우 세부적으로 다르지만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접합자에서 생명활동이 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식물의 경우 종자가 싹이 트며 발생 또는 생장을 하는 발아가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온도, 물, 산소 등이 있다(Raven, 2005). 물의 경우 종자가 발아하면서 이화작용에 필요한 물질이다. 다당류를 단당류로 분리하는 과정 등에서 쓰이며 식물이 광합성을 하기 전까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잎을 펼치고 광합성을 하기 전까지는 호흡을 하기 때문에 산소도 필수적이다. 온도 또한 영향을 준다. 토양의 온도가 24~32℃일 때 발아하는 식물이 있는 한편 –2~-4℃일 때 발아하는 종도 존재한다. 또, 일정 추위를 맞이하기 전까지는 발아 자체가 상황이 만족되어도 진행되지 않는 씨앗들도 존재한다(Chouard, 1960). 이런 씨앗들은 춘화처리를 통해 발아할 수 있다. 춘화처리는 작물의 개화 혹은 발아를 유도하기 위해 생육 기간의 일정시기에 저온처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식물은 발아 후 영양 생장기와 생식 생장기로 구별되는 시기를 지난다. 영양 생장기에서는 식물마다 다른 형태로 생활하게 된다. 일부 엉겅퀴와 민들레와 같은 식물들은 줄기를 신장하지 않고 잎만을 생장시켜 바닥에 붙어 있는 로제타형으로 성장하다가 생식 생장기는 잎의 생장이 줄어들며 꽃대가 형성되며 꽃을 피운다(Efroni, 2010).
참고 자료
Chouard, P. 1960. Vernalization and its relations to dormancy.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pp.191–238.
David W. Meinke, J. Michael Cherry, Caroline Dean, Steven D. Rounsley, Maarten Koornneef. 1998. Science. pp.662-682.
Idan Efroni, Yuval Eshed, Eliezer Lifschitz. 2010. Morphogenesis of Simple and Compound Leaves: A Critical Review. The Plant Cell. pp. 1019-1032.
Michael D. Bennett. Ikia J. Leitch, H. James Price, J. Spencer Johnston. 2003. Comparisons with Caenorhabditis (∼100 Mb) and Drosophila (∼175 Mb) Using Flow Cytometry Show Genome Size in Arabidopsis to be ∼157 Mb and thus ∼25 % Larger than the Arabidopsis Genome Initiative Estimate of ∼125 Mb. Annals of botany. pp.547-557
Raven PH, Evert RF, Eichhorn SE. 2005. Biology of Plants.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Publishers. pp. 504–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