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과제]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과제
- 최초 등록일
- 2020.07.27
- 최종 저작일
- 2020.04
- 3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한국어교원자격증 정기 과제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주제 : 한국어 교육에서는 선정된 문법항목에 대해 등급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교육에 적용합니다.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그 의미를 정리하고, 어떻게 배열하면 좋은지 배열 순서를 결정하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와 함께 그에 해당하는 예문을 5개 제시하십시오
★교수님 피드백
학습자님의 과제는 주제에 대한 이해도와 내용 구성도가 뛰어난 편입니다.
특히 '-니까'의 의미기능에 대한 기술이나 배열에 대해 학습자님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기술하신 점이 인상깊었습니다.
함께 제시하신 예문도 외국인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점이 좋았습니다.
바쁘신 와중에 과제 작성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이유의 ‘-니까’
2) 발견의 ‘-니까’
3) 행동 후 발견의‘-니까
4) 관용어로서의 ‘-니까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어 교육에서는 사용빈도와 난이도,일반화 가능성 정도나 학습자의 기대에 따라 문법 항목을 단계화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반영하고 있다.의사소통 접근법은 문법 설명을 길게 하지 않기 때문에 문법의 적용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가 중요하고,어떻게 배열하는 것이 한국어 교사에게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본고에서는 연결어미‘-니까’에 대한 문법 용법을 분류하고, 배열해보도록 하겠다.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니까’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연세한국어 사전(1998))
첫째,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이유)
참고 자료
연세한국어사전,1998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아서,’니까’의 교육방안,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김희정, 2011
접속 어미 ‘니까’의 통사와 의미,국어교육학회,황미향,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