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새마을운동 목표관리, 성과관리에 대한 공공관리 해석
- 최초 등록일
- 2020.07.23
- 최종 저작일
- 2020.07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행정관리, 공공관리 내용에 맞춰 직접 작성하여 A+받은 레포트입니다!
과제할 때 참고하시면 큰 도움될 겁니다!:)
목차
1. 새마을운동의 정의, 배경, 특징, 목표, 결과 등
2. 새마을운동의 목표관리 및 성과관리적 내용
3. 새마을운동의 평가
본문내용
새마을운동은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의 기본 정신과 실천을 범국민적∙범국가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가발전을 가속적으로 촉진시키려는 목적으로 진행된 운동이다.
1970년 초의 전국지방장관회의에서 박정희 대통령은 농민, 관계기관, 지도자 간의 협조를 전제로 한 농촌자조노력의 진작방안을 연구하라고 특별지시를 내렸는데, 이것이 새마을운동을 기획, 집행한 역사적 발단이 되었다. 새마을운동의 발의 초기에는 지식인들의 냉담한 반응을 나타냈다. 새마을운동은 주로 내무부의 계통적 관료에 의한 효율적인 동원편제에 힘입어 농촌인의 자각을 일깨우지 않은 채 하행적∙일방적∙충격적으로 시행되었다. 물론, 이와 같은 행정적인 개발계획은 새마을운동이 진척을 보임에 따라 지역주민과의 상호협동을 통해 본연의 것으로 발전되어갔다. 그리하여 새마을운동의 배태 또는 발의는 무엇보다도 국가원수의 정치적 의지의 실천과, 이를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였던 당시의 중앙집권적 정치 풍토, 그리고 내무 공무원의 총동원에 의하여 실현되었다고 간주된다.
참고 자료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운동』, 푸른역사, 2009.
왕인근, 『농촌의 발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왕인근, 『현대의 농촌사회학』, 박영사, 1985.
박종순, 『공공 갈등조정 과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김선철, 『70년대 새마을운동과 국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