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한가지를 선택하여 과학적 방법-역학 생리 심리 학습의 세가지 관점에서 코칭하는 방안에 대해 서술
- 최초 등록일
- 2020.07.21
- 최종 저작일
- 2020.07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역학 학습의 코칭
2. 생리 학습의 코칭
3. 심리 학습의 코칭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많은 스포츠 영화가 주제로 삼는 것은 코치의 중요성이다. 별 볼 일 없던 선수가 좋은 코치를 만나 제 기량을 발휘해 나가거나, 진흙 속에 묻혀 있는 진주와 같던 선수가 코치 덕분에 새로운 세계로 진출해 나가는 과정을 다룬 스포츠 영화는 수없이 많다. 동생이 은퇴한 복싱 선수인 형의 코칭을 받아 챔피언으로 거듭나는 실화를 담은 <파이터>, 슬럼 가 출신으로 보호관찰소에 들어온 청소년들이 미식축구 선수로 성장해 나가는 <그리다이언 갱> 등 한국에서도 개봉해 큰 인기를 끈 영화도 많다.
코치에 관한 스포츠 영화가 많다는 것은 즉 그만큼 한 선수에게 코치가 갖는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과 같을 것이다. 스포츠 코치는 단지 운동학적인 지식을 갖고 선수의 스포츠 테크닉의 허점을 보완하고 강점은 돋보이게끔 도와야 할 뿐만 아니라, 선수의 심리 상태에도 관여하고 여러 각도에서 선수를 최상의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조력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선수에 대한 코칭이 잘 진행되려면, 스포츠 역학적인 코칭과 스포츠 생리학적인 코칭, 스포츠 심리학적인 코칭이 모두 실시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아래 본론에서는 본인이 야구에 대해 그 코칭을 진행하는 가정을 상정하여, 야구 선수들에 대한 역학 학습 코칭과 생리 학습 코칭, 심리 학습 코칭을 어떻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인지 각각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문창일(외), 성공적인 코칭을 위한 과학적 도구의 활용, 코칭능력개발지 제6권 제2호, 2004.9.
라이너 마르텐스, 코칭과학, 대한미디어, 2007